1 / 4
" 비에텔"으로 검색하여,
3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15▲ LS에코에너지 베트남 호찌민 법인 작업자가 버스덕트를 점검하고 있다 [출처=LS전선]LS에코에너지(대표 이상호)에 따르면 베트남 생산법인 LSCV를 통해 인도네시아 바탐(Batam)에서 건설 중인 동남아시아 데이터센터(IDC)에 버스덕트를 공급한다.동남아시아 데이터센터(IDC)에 첫 버스덕트(Busduct) 수출을 성공시키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에 공급하는 IDC는 50메가와트(MW)급 하이퍼스케일(초대형)로 베트남 내수에 머물던 버스덕트 사업을 동남아 전역으로 확장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버스덕트는 금속 케이스 안에 판형 도체를 넣어 건물 내부에 대용량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 시스템이다. 일반 전선 대비 에너지 손실을 30퍼센트(%) 이상 줄이고 화재나 누전 위험을 낮출 수 있어 대규모 IDC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꼽힌다.LS에코에너지는 국내 버스덕트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켜온 LS전선의 기술력과 경험을 기반으로 2018년 베트남 법인 LSCV에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플랜트와 고층빌딩, IDC를 중심으로 시장을 넓혀왔다.LSCV는 베트남 국영 통신사 비엣텔(Viettel)의 IDC에 버스덕트를 공급했으며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글로벌 IDC 프로젝트에도 전력 케이블을 납품하며 주요 시장에서 레퍼런스를 확보했다.동남아시아는 클라우드·핀테크 확산과 각국 정부의 데이터 현지화 정책으로 글로벌 기업들의 IDC 투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핵심 시장이다. 특히 베트남은 외국 기업의 데이터센터 100% 소유가 가능해 글로벌 빅테크의 대규모 투자가 본격화될 전망이다.이상호 LS에코에너지 대표는 “IDC 투자 확대에 따른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는 LS에코에너지의 큰 성장 기회가 될 것이다”며 “전력케이블부터 버스덕트까지 송전과 배전을 아우르는 풀라인업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2020-01-21베트남 통신대기업 비에텔(Viettel)에 따르면 2020년 상업용 5G 서비스를 론칭할 예정이다. 2020년 6월 부터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 배치를 시작으로 2020년 말까지 전국에 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비에텔은 내부에서 생산된 장비의 연결을 사용해 처음으로 시험 화상통화를 했으며 비에텔의 Viettel High Technology는 전화를 거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하는데 6개월이 걸렸다.Viettel은 한국의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스웨덴 통신장비제조기업 에릭슨(Ericsson), 필란드 네트워크 및 통신장비 제조사 노키아(Nokia), 중국의 화웨이(Huawei), ZTE 등에 이어 5G 장비 제조회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베트남과 중국간 남중국해 분쟁으로 인해 양국간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의 화웨이 영향권에서 벗어나 자체적으로 5G 서비스를 상용화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비에텔은 캄보디아, 아이티, 페루 등 11개국에 1억1000만 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비에텔은 5G서비스가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그룹의 가장 전략적인 프로젝트로 고려하고 있다.▲ Viettel Homepage▲ 비에텔(Viettel) 홈페이지
-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DICT)에 따르면 제3이동통신 사업자에 최소한 12개 기업이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내 기업이 5개, 해외기업이 7개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은 PT&T, Now, Converge, Transpacific-Broadband, TiereOne 등이다.해외 기업은 일본의 KDDI, 미국의 AT&T, 중국의 차이나텔레콤(China Telecom), 한국의 KT와 LG U+, 베트남의 비에텔(Viettel), 노르웨이의 텔레노(Telenor) 등이다.참여 의사를 표명한 12개 기업이 모두 입찰에 참여할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관심을 끌어내는데는 성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입찰과정은 향후 10일 이내에 제안서를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10일 이후에 7일 동안 제안서를 검토해 예비계약서를 작성할 준비를 한다.최종 요건이 정리된 이후 입찰은 1~2개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18년 연말까지 새로운 통신사업자를 결정할 방침이다.두테르테 대통령은 양강체제로 독과점 구조를 가진 통신시장에 경쟁을 도입하기 위해 제3이동통신사업자를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필리핀도 국민소득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신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정보통신기술부(DICT) 빌딩(출처 : 홈페이지)
-
베트남 통신대기업 비에텔(Viettel)은 2017년부터 베트남·캄보디아·라오스 3국의 국제로밍 요금을 폐지한다. 국제로밍 요금을 폐지하는 것은 비에텔이 세계 최초다.비에텔은 자사와 캄보디아 멧폰(MetFone), 라오스 유니텔(Unitel)의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국제전화에 국내 통화요금과 동일한 요금을 적용시킨다.비에텔에 따르면 이번 로밍요금 폐지에 대한 1개월 당 회사의 손실액은 약 $US 1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지만 3국간의 교류가 확대되는 등 이익이 더 클 것으로 기대했다.▲비에텔(Viettel) 로고
-
미얀마 통신부에 따르면 2017년 3월 1800MHz의 주파수 대역을 휴대전화 업체에 공평하게 할당해 입찰을 실시할 방침이다.휴대전화 대기업 3사 국영통신공사 MPT, 노르웨이계 텔레노어(Telenor), 카타르계 Ooredoo 등은 본격적인 4G 서비스를 전개하기 위해 할당을 기다리고 있다.국내 기업 11개사가 출자하는 미얀마국립텔레콤홀딩스(MNTH), 미얀마 스타하이와 베트남 통신사 비에텔(Viettel)이 출자하는 휴대전화 회사 등에 대한 제 4의 할당여부는 밝히지 않았다.Ooredoo는 2016년 5월 3G 통신 대역의 일부를 4G로 전환하는 형태를 응용해 수도 네피도와 양곤, 만달레이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이어 텔레노어도 7월에 네피도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MPT 또한 10월에 양곤과 네피도의 일부 상업시설 등에서 서비스를 개시했다.정식적으로 4G 서비스를 전개하기 위한 대역이 할당되면 양곤, 만달레이, 네피도 등에서 3개사의 서비스 경쟁을 더욱 심해질 것으로 판단된다.▲미얀마 통신부 홈페이지
-
베트남 통신대기업 비에텔(Viettel)은 휴대전화 통신 서비스 12주년 기념으로 새로운 서비스인 모바일뱅킹 '뱅크플러스(BankPlus)'를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밀리터리뱅크(Military Commercial Joint Stock Bank)와 제휴해 제공한다.뱅크플러스는 SIM카드 전용 응용프로그램으로 서비스이용자는 즉시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잔액 및 거래내역 조회, 송금, 입금, 인출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베트남 통신회사 비에텔(Viettel)은 미얀마 국영통신사 MNTH 및 Star High와 합작해 미얀마 4번째 휴대전화 서비스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향후 5년간 최대 2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출자비율은 비에텔이 49%, Star High 28%, MNTH 23%이다. 2016년 말까지 사업허가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베트남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통신기업 비에텔(Viettel)과 우편통신그룹(VNPT)에게 4G 통신서비스 제공을 승인했다. 이번 발표에 모비폰(MobiFone)은 포함되지 않았다.정식허가를 받은 두 회사는 이미 2016년 초부터 4G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마치고 시험 제공 및 정식 서비스 신청을 했다.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0년에 3G/4G 서비스 관련 인프라는 인구의 95%까지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베트남 통신사업자인 비에텔(Viettel)에 따르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9개국의 가입자는 2700만 명에 도달했다. 3G가입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2G가입자는 줄어들고 있다.비에텔과 마찬가지로 비나폰(Vinaphone), 모비폰(Mobifone) 등 통신사업자들은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대규모의 보조금을 투입하고 있어 매출액에 비해 순이익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의 조사결과 베트남 이동통신대기업 비에텔(Viettel)의 휴대전화 계약건수가 세계 30위권에 진입했다. 또한 상반기 해외시장 매출은 $US 4억9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9월 중순 기준 해외시장 9개국에서 비에텔의 휴대전화 계약건수는 2013년 1000만 명의 2.6배인 2600만 명을 기록했다. 베트남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계약건수는 9000만 명에 달한다 .진출해 있는 국가는 라오스, 캄보디아, 동티모르, 카메룬, 아이티, 모잠비크, 브룬디, 페루, 탄자니아 등 9개국이다. 이 중 성장에 크게 기여한 나라는 라오스, 캄보디아, 모잠비크 등 3개국이다.해외시장의 사업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탄자니아에선 2015년 10월 할로텔(Halotel) 브랜드를 전개해 3개월 만에 계약건수 100만 명을 달성하고 9개월 후 200만 명으로 증가했다.다음 카메룬에서는 2014년 9월 넥스텔(Nexttel) 브랜드를 전개해 현재 계약건수는 250만 명에 달하며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4%나 증가했다.페루에서는 비텔(Bitel) 브랜드로 상반기 계약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했으며 매출 또한 전년 동기의 2.1배 수준이다. 모잠비크의 사업은 안정기에 들어 매출액 8% 증가에 그쳤다.▲베트남 이동통신대기업 비에텔(Viettel) 홈페이지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