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물류비"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북중남미 주요 국가[출처=iNIS][캐나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PwC, 2024년 1월부터 5월까지 C$ 720억 달러에 달하는 952건의 인수합병(M&A)거래 성사... 오스트레일리아의 팔라딘에너지(Paladin Energy)는 브리티시콜롬비아주의 피션우라늄(Fission Uranium)을 11억 달러에 인수했고 온타리오주의 버드컨스트럭션(Bird Construction)은 브리티시콜롬비아주의 제이콥브라더스컨스트럭션(Jacob Brothers Construction)을 1억3500만 달러에 인수[멕시코]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Ford), 물류비 절감을 위해 소노라 주(state of Sonora) 공장 근처에서 과이마스(Guaymas)항을 통한 차량 운송 테스트... 오랫동안 에르모시요(Hermosillo)에서 미초아칸주(state of Michoacan) 라자로 카르데나스항(Lazaro Cardenas)까지 거의 2000km에 달하는 육로를 통해 자동차 운송[멕시코] 중장비 제조업체 밥캣(Bobcat), 뉴보레온(Neuvo Leon)주 몬테레이(Monterrey) 외곽의 살리나스 빅토리아(Salinas Victoria)에서 US$ 3억 달러 규모의 신규 공장 착공식 개최... 70만 평방피트 규모의 공장은 2026년에 가동되며 600~8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콜롬비아] 조립식 콘크리트 제조업체 크레아토(Kreato), 판매 자동화 플랫폼기업 슈가씨알엠(SugarCRM)의 인공지능(AI) 기반 영업자동화 솔루션 슈가셀(Sugar Sell)을 통해 8800개의 판매 성공 달성... 고객관계관리(CRM) 및 전사적자원관리(ERP) 데이터를 통합해 매일 700명 이상의 활성 고객에게 지능형 계정관리 및 개인화된 경험 제공[페루] 코스코해운항구 찬카이페루(Cosco Shipping Ports Chancay Peru), 2025년 1분기에 페루의 거대 중국 항구 오픈할 계획... 정부와 법적 분쟁에도 불구하고 건설 공사는 순조롭게 진행 중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 일본 소비자청(消費者庁)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소비자청(消費者庁)에 따르면 인터넷 통신판매업체 등으로 구성된 4개 단체에 '무료 배송'이라는 표시를 스스로 수정하라고 요구했다.그동안 물류업체들이 무료 배송이라는 표시가 소비가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사실상 구인난, 연료비 상승 등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물류업체의 의견을 받아 들인 것이다.인터넷 통신 판매업체들은 소비자에게 물건을 배송할 때 '무료'라고 표시한다. 이러한 이유로 소비자는 물건 배송에는 비용이 들지 않는다고 오해해 물류업체가 배송비를 받기가 어려워진다는 논리다.소비자청은 무료 배송 대신에 '우송료 당사 부담'이나 가격에 '우송료 포함' 등으로 변경하라고 요구했다. 무료 배송을 계속 표시하려면 누가 우송료를 부담하고 있는지, 배송업체에게 적정한 운임을 지불하고 있다는 등의 표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소비자청은 물류업체로부터 무료배송 표시를 검토해달라는 요구를 받아 2023년 6월부터 물류업체, 인터넷 통신판매업체, 소비자단체 등 15개 단체에 협의를 진행했다.
-
2023-02-07코로나19 대유행으로 물류산업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며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일부가 됐다.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오른 에너지 비용과 인건비 상승이 택배비 인상을 부채질하고 있다.6일(현지시간) 일본 공영방송인 일본방송협회(NHK)에 따르면 일본 최대 물류업체인 야마토운수는 4월3일부터 택배비를 평균 10% 인상할 계획이다. 연료비 상승과 임금 인상이 주요인이다.야마토운수에 의하면 택배비 인상폭은 1~64%로 화물의 크기와 이동 거리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좌우된다. 또한 택배원의 임금을 인상하기 위해 매년 운임비를 조정하기로 결정했다.지난달 다른 운송기업인 사가와익스프레스도 에너지 비용 상승과 서비스 품질을 위해 4월부터 택배비를 평균 8%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물류업계의 시간외 노동 규제의 강화에 따라 트럭 운전수의 인력 부족이 심화되는 문제를 총칭한 '2024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NHK는 지적했다.노동법 관련 개정으로 일본은 2024년 4월1일부터 자동차 운전 업무의 연간 시간외 노동시간 상한이 960시간으로 제한됐다.저출산으로 줄어든 청년층과 고령화로 심각한 인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일본 물류 서비스기업들이 인력 확보와 직원 대우를 개선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고 NHK는 보도했다.▲ 일본 운송기업인 야마토운수에 따르면 4월3일부터 택배비를 평균 10% 인상할 계획이다. (출처=일본방송협회(NHK))
-
2017-09-28세계은행(WB)에 따르면 2017년 인도네시아 물류업계의 매출원가 중 20%가 물류비용으로 소요되고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 최고비용에 달한다.그만큼 인도네시아의 물류산업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도서국가의 지리적 한계와 미비한 교통 인프라로 물류비용이 과도하게 책정되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물류업계는 이러한 비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달수수료를 인하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Deliveree Group의 등장이다.Deliveree Group은 국내 물류서비스제공업체로 고객이 주문한 상품에 대해 운송차량을 배차하고 그에 맞는 운송료를 적절하게 책정해주고 있다.상업용트럭(2톤)을 통해 배송하며 거리에 따라 운송료를 책정한다. 결국 비효율적이고 불투명했던 중간수수료를 10~20%까지 절감할 수 있게 됐다.참고로 현재 동남아시아의 물류산업 가치총액은 약 US$ 3000억달러로 추산됐다. 이중 2/3가 인도네시아에서 창출될 만큼 물류산업의 잠재성은 크다.▲Deliveree Group 홈페이지
-
중국물류구매연합회(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에 따르면 2016년 중국사회물류총액이 230조위안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또한 사회물류총비용은 11조위안으로 전년 대비 3% 늘어났다. 사회물류총비용이 GDP의 약 15%까지 떨어졌으나 선진국 대비 물류비용이 여전히 높아 비용절감이 절실하다.중국의 물류경기지수는 55.2%로 전년 대비 0.2%P 늘어났으며 11월11일 광군절기간 중국전자상거래물류지수는 213.5로 전년 대비 49포인트 상승했다.2016년 전자상거래 관련 택배업무량 및 수입은 313억5000만건에 4005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각각 51.7% 44.6% 늘어났다.▲ China_CFLP(China Federation of Logistics & Purchasing)_Homepage 3▲중국물류구매연합회(中国物流与采购联合会) 홈페이지
-
▲ 중국 국무원(国务院) 로고중국 국무원(国务院)은 2016~18년까지 물류비용 절감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으며 물류비용인하를 통해 기업활동의 효율성과 구조전환 및 고도화를 추진하겠다는 전략이다.2018년까지 현대형 물류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고 철도, 도로, 항공 등 물류비용을 줄이는 성과를 달성하는 목표를 수립했다.국내총생산(GDP)대비 물류비용이 2015년 16%에서 2018년까지 1%P를 줄일 예정이며 지난 2010년 17.8%에서 5년동안 1.8%P 줄어들었다.또한 대기업의 물류비용은 매출액 대비 2014년 8.9%에서 8.5%로 낮추고 유통업은 7.7%에서 7.3%로 줄일 계획이다.
-
▲ 인도네시아 정부 로고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수입 원자재 및 수출용 제품을 한번에 보관하는 보세물류센터(PLB)를 활용시 물류비용은 최대 7% 절감된다.PLB를 활용하면 수출입 업무를 대폭 간소화해 기업은 5~7%가량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부는 PLB를 이용하는 기업에 대해 수입관련세금(PDRI) 및 부가가치세(PPN) 면제 등의 혜택을 부여한다.
-
▲ 인도네시아 정부 로고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2016년 9월 '보세물류창고(PLB)'를 통해 물류비용을 5~7%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수입품에 대한 유통 및 관리의 중요성이 지목됐다.통상 국내로 반입된 수입물품이 도로상에서만 1~2개월 소요되는데 보세물류창고를 이용할 경우 ▲관세부과의 유보 ▲유통비용의 절감 등으로 기존의 방식보다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현재 항만의 물류시스템도 보세물류창고를 구축해 효율화에 집중하고 있다. 기존 국내항만의 수출입 소요기간이 인근 동남아국가 보다 2~3배나 길어 비효율적이었지만 점점 개선 중이다.올초부터 11개 투자업체가 산업구역 인근에 보세물류창고를 건설하고 있다. 주로 면화, 자동차부품, 오일 및 가스장비 등의 원자재 저장창고로서 사용될 예정이다.* 보세물류창고(PLB): 수입물품 및 일정 내국물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은 '보세구역' 내 보관창고를 말한다.
-
▲ 인도네시아 정부 로고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2016년 9월 '보세물류창고(PLB)'를 통해 물류비용을 5~7% 절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수입품에 대한 유통 및 관리의 중요성이 지목됐다.통상 국내로 반입된 수입물품이 도로상에서만 1~2개월 소요되는데 보세물류창고를 이용할 경우 관세부과의 유보, 유통비용의 절감 등으로 기존의 방식보다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
일본 미쓰비시전기(三菱電機)는 2016년 가전, 자동차용 부품을 고객에게 발송하는 컨테이너 내에 센서를 설치해 제품의 설계 및 포장을 간소화하기 시작했다. 진동, 온도, 습도의 변화정보를 국내외 유통망에 축적해 과잉포장 감소시켜 해외사업 확대로 인한 물류비 절감을 목적으로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