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알루미늄"으로 검색하여,
2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0▲ 인도 힌달코(Hindalco) 로고[출처=힌달코 홈페이지]2025년 3월20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아디트야 비를라 그룹은 자회사 힌달코의 구리, 알루미늄, 특수 알루미나 사업을 지원할 방침이다.파키스탄 FFC는 펀자브은행 외 3곳의 은행과 협업해 담보 없이도 농민들이 최대 Rs 50만 루피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인도 아디트야 비를라 그룹(Aditya Birla Group), 힌달코(Hindalco)에 대해 Rs 4500억 루피 투자인도 다국적기업 아디트야 비를라 그룹(Aditya Birla Group)은 자회사 힌달코(Hindalco)에 대해 구리, 알루미늄, 특수 알루미나 부문에 Rs 4500억 루피 상당을 투자할 것을 밝혔다. 탐사·생산 단계부터 고정밀 차세대 제작상품을 지원한다.Renukoot 지역에서 알루미늄 생산은 2만 톤(t)에서 130만t으로 확대돼 비를라가 국내에서 가장 큰 통합 생산자로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구리 제련 및 생산량은 곧 1만t을 능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비를라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재생에너지, 반도체 시장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파키스탄 FFC(Fauji Fertilizer Company), 주요 은행 4곳과 농민을 위한 Rs 10억 루피 가치 대출 프로그램 선보여파키스탄 화학기업 FFC(Fauji Fertilizer Company)에 따르면 주요 은행 4곳과 협업해 농민들을 위한 Rs 10억 루피 가치의 대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FFC가 운영하는 소나 센터(Sona Center)에 등록된 농민들은 담보 없이도 최대 50만 루피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토지 소유권 문서이 부족해 재정적 도움을 받기 어려운 소작농들을 위해 고안된 이니셔티브다.펀자브은행(Bank of Punjab), 알팔라은행(Bank Alfalah), 아스카리은행(Askari Bank), 파이잘은행(Faysal Bank) 등이 참여한다.
-
▲ LS에코에너지 베트남 생산법인 LS-VINA 전경[출처=LS전선]LS전선(이사회 의장 구자엽, 대표이사 사장 구본규)에 따르면 LS에코에너지( 대표이사 이상호)와 함께 미국에 MV급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을 처음으로 공급하며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양사는 미국 태양광 EPC 업체에 US$ 2500만 달러(약 363억 원) 규모의 35킬로볼트(kV)급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을 공급한다. 이 케이블은 캘리포니아, 뉴저지, 인디애나 등 미국 전역의 태양광 발전단지 전력망 구축에 사용된다.고온·강우·먼지 등 극한 환경에서도 높은 내구성과 안정적인 고전압 전송 성능을 갖춰 태양광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화한다.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미국 태양광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고품질 알루미늄 케이블 개발과 미국 안전 규격인 UL 인증 획득 등 선제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또한 이번 수주는 미국 정부의 ‘탈중국’ 정책과 맞물려 양사의 경쟁력을 더욱 부각시킨다. 최근 미국은 중국산 케이블에 총 45퍼센트(%)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소재를 활용한 우회 수출에 대한 규제도 강화하고 있다.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2024년 통신(UTP) 케이블의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25년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까지 수출이 확대되며 더욱 뚜렷한 성장세가 예상된다.회사 측은 "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물론 가온전선 등 전선 관계사들은 원자재 품질과 공급망 안정성을 고려해 중국산 알루미늄과 구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태양광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력 인프라 사업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5-03-06▲ LS에코에너지 베트남 생산법인 LS-VINA 전경[출처=LS전선]LS전선에 따르면 LS에코에너지와 미국 태양광 EPC 업체에 US$ 2500만 달러(약 363억 원) 규모의 35킬로볼트(kV)급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을 공급한다.MV급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을 미국에 처음으로 공급하며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이 케이블은 캘리포니아, 뉴저지, 인디애나 등 미국 전역의 태양광 발전단지 전력망 구축에 사용된다.고온·강우·먼지 등 극한 환경에서도 높은 내구성과 안정적인 고전압 전송 성능을 갖춰 태양광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화한다.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미국 태양광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고품질 알루미늄 케이블 개발과 미국 안전 규격인 UL인증 획득 등 선제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이번 수주는 미국 정부의 ‘탈중국’ 정책과 맞물려 양사의 경쟁력을 더욱 부각시킨다. 최근 미국은 중국산 케이블에 총 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소재를 활용한 우회 수출에 대한 규제도 강화하고 있다.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지난해 통신(UTP) 케이블의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약 15%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25년 알루미늄 전력 케이블까지 수출이 확대되며 더욱 뚜렷한 성장세가 예상된다. LS전선은 “LS전선과 LS에코에너지는 물론 가온전선 등 전선 관계사들은 원자재 품질과 공급망 안정성을 고려해 중국산 알루미늄과 구리를 사용하지 않는다”며 “태양광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력 인프라 사업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 LS머트리얼즈, 코엑스 ‘인터배터리 2025’ 전시관에서 직원들이 관람객들에게 전시 제품을 설명하는 장면[출처=LS머트리얼즈]LS머트리얼즈(대표 홍영호)에 따르면 2025년 3월5일부터 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2025’ 전시회에 참가했다.LS머트리얼즈는 전시회에서 AI데이터센터(AIDC)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적용 가능한 차세대 울트라커패시터(UC) 솔루션과 전기차용 알루미늄 부품을 공개한다.이번에 선보이는 UC 솔루션은 초고속 충·방전과 고출력 특성을 갖춰 인공지능(AI) 서버 환경에서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순간적인 전력 사용량이 큰 데이터센터에도 최대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기존 배터리보다 긴 수명과 높은 안전성을 제공한다.AI 데이터센터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스템에 활용되는 ‘셀듈(Celldule)’은 셀과 모듈을 일체화해 기존 분리형 대비 2배 이상의 성능을 구현했다.특히 개별 셀 전압 조절 기능이 추가되어 안정성과 효율성을 한층 높인 것이 특징이다. UC 업계 최초로 ‘스마트 벨런싱 2.0’을 적용한 ‘UC 기반의 그리드포밍(Grid-forming)’ 솔루션도 공개한다.이 기술은 개별 셀의 수명을 실시간으로 예측해 전체 시스템 수명을 2배 늘리고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변동하더라도 전력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아울러 자회사 HAIMK는 전기차 차체 및 배터리 하우징에 적용되는 고강도 알루미늄 부품을 전시한다. 기존 부품 대비 무게를 약 30% 줄이면서도 동일한 강도를 유지하는 경량화 기술이 적용됐다. 완성차 업체와 협력을 확대해 연내 양산 및 공급에 돌입할 계획이다.LS머트리얼즈는 “현재 글로벌 전력설비 기업인 S사와 솔루션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다. 4월 미국 ‘AI데이터센터월드’ 전시회에 참여하는 등 북미 시장 진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
▲ 모잠비크의 모잘 알루미늄(Mozal Aluminium) 제련소의 모습. [출처=사우스32(South32) 홈페이지]2024년 12월10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모잠비크의 광업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광산기업인 툰겔라 리소시스(Thungela Resources)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남아공 국내의 석탄 수출량은 12.5메트릭톤(Mt)으로 전망된다.오스트레일리아 광산 회사인 사우스32(South32)에 따르면 2024년 12월부터 모잠비크 모잘 알루미늄(Mozal Aluminium) 프로젝트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툰겔라 리소시스(Thungela Resources), 2024 회계연도 국내 석탄 수출량 12.5메트릭톤(Mt) 전망남아프리카공화국 광산기업인 툰겔라 리소시스(Thungela Resources)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남아공 국내의 석탄 수출량은 12.5메트릭톤(Mt)으로 전망된다.철도 시설인 트랜스넷(Transnet)의 운영 능력이 민간 부문의 지원을 통해 예상보다 빠른 시일에 호전됐기 때문이다.수송 차량 대수 추가와 지속적인 유지 보수를 통해 연간 수송량을 47Mt에서 56Mt으로 늘리며 2023년 석탄 수출량인 11.9Mt과 비교해 증가했을 것으로 판단된다.오스트레일리아의 엔샴(Ensham) 석탄 광산에서 생산된 석탄 수출량은 4Mt으로 예상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32(South32), 2024년 12월 모잠비크 모잘 알루미늄(Mozal Aluminium) 프로젝트 생산 중단할 계획오스트레일리아 광산 회사인 사우스32(South32)에 따르면 2024년 12월부터 모잠비크 모잘 알루미늄(Mozal Aluminium) 프로젝트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다.모잠비크 국내의 선거 관련 치안 문제로 인해 모잘 알루미늄 제련소에의 원자재 수송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운영에 끼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 사태 대책을 도입했다. 현재까지 인명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2024년 8월 사우스32는 2024 회계연도 알루미늄 생산량을 36만 톤(t)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알루미늄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다.
-
▲ 미국 투피케어 브랜드 트레제미(TRESemmé)는 비지니스 리얼리티 쇼 샤크 탱크 파키스탄(Shark Tank Pakistan)와 파트너십을 맺었다[출처=샤크 탱크 파키스탄 공식 페이스북]2024년 11월12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힌달코 인더스트리즈에 따르면 알루미늄 및 구리 사업에 대한 매출액은 5820억3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미국 트레제미(TRESemmé)는 비지니스 리얼리티 쇼 샤크 탱크 파키스탄 출연진들의 스타일링을 담당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인도 힌달코 인더스트리즈(Hindalco Industries Limited),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순이익 Rs 390억9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인도 힌달코 인더스트리즈(Hindalco Industries Limited)에 따르면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순이익은 Rs 390억9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19억6000만 루피 대비 78% 증가했다.총수입은 5927억8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5463억2000만 루피와 비교해 8.5% 늘어났다. 알루미늄 및 구리 사업에 대해 매출액 5820억3000만 루피를 달성했다.이는 전년 동기 5416억9000만 루피에서 7.5% 확대됐다. 인도 알루미늄 탐사·생산부문에 대해서 1톤당 EBITDA 1348달러로 지난 10분기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힌달코의 미국 자회사 노벨리스(Novelis)의 매출액은 3597억5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396억1000만 루피 대비 3.2% 상승했다.◇ 미국 트레제미(TRESemmé), 샤크 탱크 파키스탄(Shark Tank Pakistan)과 파트너십 체결미국 투피케어 브랜드 트레제미(TRESemmé)는 비지니스 리얼리티 쇼 샤크 탱크 파키스탄(Shark Tank Pakistan)와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혔다.트레제미는 출연자들의 스타일링을 담당함으로써 자신감을 부여하며 "모두를 위한 전문적 스타일링"이라는 사명을 실천한다.참고로 사크 탱크 파키스탄에서는 전국의 기업인들이 선망받는 투자자 패널, 혹은 "사기꾼(sharks)"을 대상으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 사업 방안을 제시해 투자 확보 및 멘토링을 목적으로 한다.
-
▲ 이튼(Eaton)의 5A UPS[출처=VSTECS 홈페이지]2024년 9월2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다. 지능형 전력업체 이튼은 VSTECS 필리핀을 통해 단상 및 3상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유통한다.인도네시아 안탐과 이날룸이 알루미늄 정제소를 설립하는 데 있어 총 20억 달러를 투자한다.◇ 이튼(Eaton), VSTECS 필리핀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급업체로 공인글로벌 지능형 전력업체 이튼(Eaton)이 VSTECS 필리핀(VSTECS Phils., Inc.)을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급업체로 공인을 받았다.이튼은 VSTECS를 통해 단상 및 3상 UPS를 국내 시장에 전달한다. 필리핀은 자연재해가 빈번하기 때문에 해당 파트너십으로 하여금 안정적인 전력 관리를 목표로 한다.◇ 인도네시아 안탐(Antam), 이날룸(Inalum)과 US$ 9억4100만 달러 상당 알루미늄 정제소 가동인도네시아 국영 광산업체 안탐(PT Aneka Tambang Tbk, Antam)은 국영 알루미늄 제련업체 이날룸(PT Indonesia Asahan Aluminium, Inalum)과 함께 알루미늄 정제소를 설립했다.US$ 9억4100만 달러를 투자한 이 시설은 서부 칼리만탄(Kalimantan) 지역에 위치한다. 생산용량은 연간 100만 톤(t)이며 보크사이트 330만t을 처리할 수 있다.안탐과 이날룸의 모회사 MIND ID는 추가적인 시설을 건설하는 데 9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장 설립에 총 20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국내 알루미늄 수요는 120만t이며 이 중 56%는 수입된다. 해당 공장을 통해 수입량을 줄이고 국내 광물 산업을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
2024-09-10▲ 아랍에미리트 항공사 모기업인 에미레이트 그룹(The Emirates Group)은 2024년 8월28일 에미라티 여성의 날(Emirati Women’s Day)을 맞아 그룹 내 다양한 직군에서 활약한 여성 근로자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출처=에미레이트 그룹 홈페이지]2024년 8월 4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통계와 기업경영, 유통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디지털 은행인 알 마리야 커뮤니티 은행(Mbank)에 따르면 라스 알 카이마 경제자유지대(RAKEZ)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아랍에미리트 알루미늄 복합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로 집계됐다.○ 아랍에미리트 보안 솔루션 및 인쇄기업인 E7 그룹(E7 Group)에 따르면 2025년부터 디지털 납세필 인지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가동을 시작한 이후 생산량을 점차적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전체 투자금액은 AED 1억8200만 디르함(US$ 4955만 달러)이다.기술을 활용한 보안 솔루션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높아지며 기술 활용도와 생산 능력을 높여 새로운 시장 진출에 집중할 방침이다.참고로 E7 그룹은 은행, 정부, 통신사 등 산업 분야에 기술 보안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인 은행 카드, 통신사 카드, 국가 ID 카드, 여권 등을 생산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공항 자유지역(ADAFZ)에 따르면 새로운 창고 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로지스틱 기업인 MSM 로지스틱(MSM Logistic)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건설 위치는 알 팔라 구역(Al Falah District)으로 2만8623평방미터 규모다. 국내 무역 및 경제 개발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및 국제 기업체들에게 운송 인프라시설을 제공해 운영 유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글로벌 투자회사인 무바달라 투자(Mubadala Investment Company)에 따르면 싱가포르 아시아 투자회사인 CBC 그룹(CBC Group)과 파트너십을 맺었다.벨기에 제약회사인 UCB 제약(UCB Pharma)의 지분 100%를 획득하면서 중국 시장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무바달라는 UCB의 중국 대륙 내 신경학과 알러지 포트폴리오, 주하이 제조시설 등을 함께 인수할 계획이다. 2023년 UCB의 중국 제약업 순매출은 1억3100만 유로로 집계됐다.관세 문제와 의무적인 반독점 금지 허가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2024년 4분기 계약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글로벌 투자회사인 무바달라 투자회사(Mubadala Investment Company)는 싱가포르 아시아 투자회사인 CBC 그룹(CBC Group)과 함께 벨기에 제약회사인 UCB 제약(UCB Pharma)의 지분 100%를 획득했다. [출처=무바달라 투자회사 엑스(X) 계정]○ 아랍에미리트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28일 에미라티 여성의 날(Emirati Women’s Day)을 기념해 여성 인권 강화를 강조했다.2022-2026 젠더 평등 전략(Gender Balance Strategy 2022-2026)은 △경제적 협력 및 기업가 정신 △금융 포용과 웰빙, 삶의 질 △안전 △글로벌 리더십 및 파트너십 4개 부문의 양성평등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유엔개발계획(UNDP)의 성평등 지수 2024(Gender Inequality Index 2024)에서 UAE는 글로벌 7위, 중동 지역 국가 1위를 기록했다. 2015년 49위에서 2022년 11위로 괄목한 성장을 이뤘다.○ 아랍에미리트 디지털 은행인 알 마리야 커뮤니티 은행(Mbank)에 따르면 라스 알 카이마 경제자유지대(RAKEZ)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파트너십을 통해 RAKEZ에서 운영하고 있는 모든 기업들은 Mbank의 기업 플랫폼에서 48시간 이내로 디지털 은행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Mbank의 통합 디지털 플랫폼 내의 다양한 서비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번 협업은 기업에 맞춘 다양한 은행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참고로 RAKEZ 내의 산업 분야는 50개 이상으로 자유구역과 비자유구역 기업 2만3000개 이상이 운영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 모기업인 에미레이트 그룹(The Emirates Group)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전체 인력 중 여성 비율은 38%로 집계됐다.2024년 8월28일 '에미라티 여성의 날(Emirati Women’s Day)'을 맞아 그룹 내 다양한 직군에서 활약한 여성 근로자들의 역할을 강조했다.2023 회계연도 그룹의 여성 고용 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룹의 중요 직책에 속한 여성 수는 200명 이상으로 조사됐다.○ 아랍에미리트 항공기 리스사인 두바이 항공우주 엔터프라이즈(DAE)에 따르면 다수 기업체와 US$ 11억 달러에 항공기 23대를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했다.총 9개국 항공사 13곳과 계약을 맺었다. 항공기의 평균 기체연수는 3.4년이며 평균 리스 기간은 8.8년이다. 임대한 기체의 91%는 협동기이며 차세대 기술을 탑재한 기체는 8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말까지 모든 항공기 리스 계약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되며 항공여객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며 항공사의 기체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알루미늄 복합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로 집계됐다.2023년 상반기 순이익인 19억6000만디르함(5억3300만달러)과 비교해 감소했다. 2024년 상반기 EBITDA는 42억 디르함(11억4000만 달러)로 2023년 상반기 41억5000만 디르함(11억3000만 달러)와 대비해 근소하게 상승했다.2024년 상반기 알루미늄 부문 EBITDA 마진율은 27.5%로 2023년 상반기 26.9%와 비교해 상승했다.
-
▲ 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회사인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는 2024년 5월 루웨 LNG(Ruwais LNG) 프로젝트에 대한 3번째 계약을 독일 에너지회사인 EnBW와 체결했다. [출처=ADNOC 엑스(X) 계정] 2024년 8월 중동 광업 주요동향은 석유와 가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천연가스기업인 ADNOC 가스(ADNOC Gas)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순이익은 US$ 11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21% 증가했다.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인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수익은 US$ 563억 달러로 집계됐다.○ 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회사인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ADNOC)에 따르면 일본 가스회사인 오사카 가스(大阪ガス)와 장기간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매년 최대 80만메트릭톤(t)의 LNG를 공급하기로 결정됐다. 계약에 따라 ADNOC는 LNG 화물을 오사카 가스와 싱가포로 자회사인 OGEST(Osaka Gas Energy Supply and Trading)의 항구로 수송한다.현재 알 다나(Al Dhannah)에서 개발 중인 루웨 LNG(Ruwais LNG) 프로젝트로 ADNOC가 오사카 가스에 LNG를 공급할 계획이다. 루웨 LNG 프로젝트는 2028년부터 상업적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아랍에미리트 국영석유공급회사인 ADNOC 분배(ADNOC Distribution)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순수익은 US$ 1억7000만달러로 연간 성장률은 12.9%로 집계됐다.2024년 2분기 EBITDA는 2억67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15% 상승했다. 2024년 2분기 법인세를 제외한 순수익은 1억87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24.5% 올랐다.국제 기업들의 수요로 연료 유통량이 증가하고 비연료 부문의 소매업 운영이 성장하며 실적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천연가스기업인 ADNOC 가스(ADNOC Gas)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순이익은 US$ 11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21% 증가했다.2024년 2분기 매출은 60억7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13% 상승했다. 국내 인구 수와 산업 성장으로 국내 가스 산업의 판매가 강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ADNOC 가스는 국내 가스 수요의 60%를 충족하고 있다. 더불어 석유화학을 포함해 주요 산업 분야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알루미늄 복합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로 집계됐다.2023년 상반기 순이익인 19억6000만디르함(5억3300만달러)과 비교해 감소했다. 2024년 상반기 EBITDA는 42억 디르함(11억4000만 달러)로 2023년 상반기 41억5000만 디르함(11억3000만 달러)와 대비해 근소하게 상승했다.2024년 상반기 알루미늄 부문 EBITDA 마진율은 27.5%로 2023년 상반기 26.9%와 비교해 상승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인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수익은 US$ 563억 달러로 집계됐다.2024년 2분기 수익은 291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3% 하락했다. 2024년 2분기 순수익은 전분기와 비교해 6.59% 상승했다.석유 생산량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해 수익은 근소하게 감소했음에도 상반기 동안 수익과 현금 유동성은 강세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
2024-08-30▲ 오만 무스카트 국제공항(Muscat International Airport)은 2024년 8월30일 세계에서 가장 큰 화물기인 벨루가 에어버스 A300(Beluga Airbus A300)을 도입했다. [출처=오만 공항청(Oman Airports) 엑스(X) 계정]2024년 8월30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쿠웨이트, 오만의 통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알루미늄 복합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로 집계됐다.오만 통계청(NCSI)에 따르면 2024년 7월 국내 공항 이용객 수는 847만8548명으로 2023년 7월 775만7629명과 비교해 9.2% 증가했다.◇ 아랍에미리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 2024년 상반기 순이익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 아랍에미리트 알루미늄 복합기업인 에미리트 글로벌 알루미늄(EGA)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AED 18억4000만 디르함(US$ 5억 달러)로 집계됐다.2023년 상반기 순이익인 19억6000만디르함(5억3300만달러)과 비교해 감소했다. 2024년 상반기 EBITDA는 42억 디르함(11억4000만 달러)로 2023년 상반기 41억5000만 디르함(11억3000만 달러)와 대비해 근소하게 상승했다.2024년 상반기 알루미늄 부문 EBITDA 마진율은 27.5%로 2023년 상반기 26.9%와 비교해 상승했다.◇ 쿠웨이트 통계청(CSB), 2024년 6월 도매가격 지수 149.2로 2023년 6월 146.2와 비교해 2.1% 상승쿠웨이트 통계청(CSB)에 따르면 2024년 6월 도매가격 지수는 149.2로 2023년 6월 146.2와 비교해 2.1% 상승했다.국내 생산품 중 농업, 임업, 어업 생산품의 도매가는 4.4% 올랐다. 곡물과 가축 생산품 가격은 4.5%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6월 수입품의 가격은 2.8% 상승한 반면 국내 생산품 가격은 8.1% 급상승해 도매가격 지수에 영향을 줬다.◇ 오만 통계청(NCSI), 2024년 7월 국내 공항 이용객 수 847만8548명으로 2023년 7월 775만7629명과 비교해 9.2% 증가오만 통계청(NCSI)에 따르면 2024년 7월 국내 공항 이용객 수는 847만8548명으로 2023년 7월 775만7629명과 비교해 9.2% 증가했다.수도 무스카트(Muscat), 살랄라(Salalah), 소하르(Sohar), 두쿰(Duqm) 공항의 비행 운항 횟수는 2024년 7월 6만3219회로 2023년 7월 5만9778회와 비교해 5.7% 확대됐다.2024년 7월 말 기준 무스카트 국제공항(Muscat International Airport)의 이용객 수는 757만1148명으로 전년 대비 8.9% 증가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