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정서"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국내 수목원⋅식물원은 1909년 처음 개원한 이래 약 115년 동안 국민의 주요 여가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수목원⋅식물원의 기능 중 여가 및 휴양기능에 대한 가중치가 더욱 중요해졌다.수목원⋅식물원의 방문객수가 2011년 이후 매해 1000만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2017년 1553만9000명으로 방문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이에 따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제5차 수목원진흥계획(2024∼2028)에서는 5대 전략 중 하나로 “국민 모두가 누리는 스마트 수목원 조성” 전략이 제시됐고 20대 중점과제로 “전시⋅교육을 통한 수목원 문화 확산” 과제가 제시된 바 있다.이와 같은 수목원⋅식물원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의 수요는 그들이 사전에 가지고 있었던 이미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는 수목원⋅식물원과 같이 규모가 큰 대단위 면적 공간인 경우, 개별 공간에 대한 지각과 인식보다 공간 전체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가 수요자의 의사결정에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수목원⋅식물원에 대한 국민의 정서적 이미지가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이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이번 회에는 '방문경험 유무에 따른 수목원⋅식물원의 정서적 이미지 포지셔닝'이라는 주제의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2024년 12월 한국경관학회, 제16권 제2호에 게재됐다. 강원대학교 관광경역학과 윤희정 교수가 완성했다.◇ 연구의 목적...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헤 수목원⋅식물원의 방문경험 유무에 따른 이미지 포지셔닝 차이 분석일반적으로 목적지의 이미지는 인지적(cognitive) 이미지와 정서적(affective) 이미지로 구분된다. 이 중 인지적 이미지는 지각된 자극을 알아가는 과정 중에 형성된 일종의 내재적 각성(internal arousal
-
2025-03-14▲ 농심 로고[출처=농심] 농심(회장 신동원, 대표이사 이병학)에 따르면 ‘인생을 울리는 신라면’ 농심 신라면 신년광고가 ‘제33회 소비자가 뽑은 좋은 광고상’에서 TV 부문 ‘좋은 광고상’을 수상했다.‘소비자가 뽑은 좋은 광고상’은 한국광고주협회와 소비자단체협의회가 공동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며 소비자가 직접 참여해 선정하는 광고 시상식이다.TV 부문에서 수상한 농심 신라면 신년광고는 ‘인생을 맛있게 메워주는 라면’을 주제로 가족, 친구, 동료와 즐기는 신라면의 모습과 함께, 새해에도 신라면으로 맛있는 일상이 되기 바란다는 메시지를 담았다.특히 세계인도 함께 즐기는 신라면의 위상을 표현해 글로벌 대표 브랜드 신라면의 이미지를 강조했다.신라면 신년광고는 브랜드의 친근함과 일상성을 소비자가 정서적으로 공감할 수 있도록 신년인사 형식으로 표현한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아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
2025-02-18▲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본사 전경[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실시한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에서 2년 연속 최고등급인 ‘우수’등급을 받았다.이번 점검에서 한국수자원공사는 98.5점을 받아 87개의 공기업·준정부기관 평균 점수인 88.2점을 크게 상회해 평가 상위 10개 기관에 자리하는 성과도 얻었다.행정안전부는 점검을 통해 각 기관의 데이터기반행정 이행 수준을 평가하며 2024년 점검에서는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 공공기관 등 총 679개 기관을 대상으로 △ 데이터 공유 △ 데이터 분석·활용 △ 관리체계 등 총 3개 영역, 10개 세부 지표에 대한 점검이 이뤄졌다.한국수자원공사는 그동안 전사 데이터기반행정 관리체계 기반을 마련하고 기관 간 공유데이터 등록, 사내 데이터 공모전 개최 등 데이터분석 및 활용문화 확산과 데이터 기반 업무효율 개선 및 행정서비스 발굴을 위해 노력한 점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다.한편 행정안전부가 2025년도 평가에서 기존 데이터기반행정에 인공지능(AI)을 더한 AI·데이터기 반행정으로의 탈바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한국수자원공사는 물관리 현장뿐만 아니라 사내 행정·관리 분야의 AI·데이터 기반 서비스 수요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나가고 있다.감사·윤리·민원 업무와 접목한 AI 기반 의사결정 지원모델, 갈등관리 AI 조기 경보모델을 개발·검증(PoC)하고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수립하는 등 디지털 대전환과 AI 혁명에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류형주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은 “물관리 분야는 물론, 기본적인 행정 및 관리 등의 업무 전반에 걸쳐 스마트하게 일하는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AI와 데이터 기반 시스템을 적극 도입해 나갈 것이다”며 “앞으로의 기술적 변화와 혁신에도 대비할 수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라는 구호로 당선된 후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이민을 제한하기 위해 국경을 봉쇄하고 외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해 자국 산업을 보호하고 있다. 중국의 벤처기업이 개발한 딥시크(DeepSeek)가 미국의 챗GPT(chatGPT)에 도전하며 양국간 긴장이 조성되고 있다.2023년 서비스를 시작한 챗GPT는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을 기반으로 학습해야 하므로 막대한 개발 비용이 필요하다. 학습데이터의 확보도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다.㈜에이아리더 이정록 이사는 'sLLM을 활용한 유아의 정서 발달을 돕는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특징(Feature) 연구(A Study on Featur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to Help Infants’ Emotional Development Using sLLM)에 관한 논문을 작성했다. 간략하게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LLM에 비해 소규모 데이터로 학습이 가능한 sLLM 활용해 유아정서 발달 지원유아기의 정서 발달은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으로 긍정적인 정서 발달은 사회성, 자존감, 학습 능력 등 전반적인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모든 유아는 각자 다른 성장 속도와 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별 유아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하지만 맞벌이 가정 증가, 소규모 가족화 등 양육 환경의 변화로 유아들이 부모에게 충분한 정서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이에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특히 자연어 처리 기술의 발달은 인공지능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어준다.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을 활용한 연구는 새로운 접근 방법
-
2024-10-25▲ KB손해보험 로고[출처=KB손해보험]KB손해보험(대표이사 사장 구본욱)에 따르면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를 보험 업무 처리에 활용할 수 있는 ‘행정서류 제출 간소화 서비스’를 도입했다.행정서류 제출 간소화 서비스란 보험 가입 및 보험금 청구 과정에서 필요한 행정서류를 모바일 ‘본인 인증’과 ‘공공 마이데이터 제공 요구’를 통해 공공 마이데이터로 제출할 수 있는 서비스다.예컨대 기존의 본인부담상한제 업무 심사를 위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해외 장기체류 환급금 심사를 위한 ‘출입국에 관한 사실 증명’ 등과 같은 행정서류를 고객이 직접 발급받아 제출할 필요 없이 공공 마이데이터로 제출이 가능해진다.또한 개인 대출에 필요한 소득금액 증명, 납세증명서 등과 같은 행정서류들도 공공 마이데이터로 제출할 수 있도록 연내에 추가될 예정이다.행정서류 제출 간소화 서비스는 고객 편의성뿐만 아니라 업무 담당자 입장에서도 서류를 FAX, 이미지 등으로 전달받아 직접 확인하고 수기로 입력 처리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로 수신해 업무 화면에 자동 계산돼 입력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 역시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됐다.KB손해보험은 2024년 6월 금융 마이데이터 공공정보를 활용한 ‘마이공공정보’ 서비스를 오픈한 데 이어 ‘행정서류 제출 간소화 서비스’까지 출시함으로써 금융에 이어 공공까지 보험 업계 마이데이터 활용 선두 주자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향후 공공 마이데이터 고도화 및 금융 마이데이터 2.0 적용을 통해 고객 중심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KB손해보험은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지속적인 적용 영역 확대로 고객 편의성 증대 및 직원 업무 효율성 개선에 힘쓸 것이다. 종이 서류 감소 및 보관 비용 절감 등 ESG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지구정상회의에서 참가자들은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열린 제3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3)에서 중요한 합의를 도출했다.하지만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는 6가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로 합의했지만 과학적인 절충이 아닌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1세기에 들어서 이상기후 현상은 그 강도와 횟수 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피해 지역 또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상기후 현상 중 지표면 및 대기 온도 상승으로 인한 도시열섬 현상(UHI: Urban Heat Island)은 도시를 중심으로 더욱 심화되는 중이다.도시열섬 현상이란 교외 지역보다 도시 지역의 대기 온도, 지표면 온도가 더 높은 현상을 나타낸다. 특히 도시열섬의 강도가 더욱 심해져 뜨거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열돔 현상까지 이어지고 있다.이번 회에서는 '서울시 사계절 도시열섬에 따른 도시공간 특성요인 도출 및 분석연구'라는 주제의 석사 논문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2023년 8월 중앙대 대학원 토목공학과 도시설계 및 계획 전공 김다혜가 완성했다.최근 더욱 심화되고 있는 이상기후로 폭염과 열대야 일수 및 빈도가 증가하고 열환경 문제도 심화되고 있으므로 서울시 사계절 도시열섬에 따른 도시공간 특성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는 좋은 시도라고 생각한다. 논문의 주요 내용을 간력하게 소개한다.▲ 분석의 틀◇ 연구의 목적... 계절별 열섬현상을 파악해 열섬저감 도시계획에 적용서울시의 사계절 열섬강도 핫스팟·콜드스팟 지역을 도출해 계절별 열섬현상을 파악하고 사계절 열섬강도 집중지역의 열섬저감 도시계획 적용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서울의 도시데이터센서(S-DoT) 기온 데이터와 도시공간 특성 요소를 수집하고 사계절 열섬강도를 산출함으로써 도시공간 특성요인 영향력을 분석한다.이어서 계절별 열섬강도 핫스팟&mi
-
일본 지주회사인 세이부 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싱가포르 자산관리법인인 지아이씨프라이빗리미티드(GIC Private Ltd) 관련 회사인 Rico Pine Private Ltd와 기본 협정서를 체결했다. 해당 체결에 근거해 프린스 호텔(プリンスホテル)은 호텔과 레저 자산을 GIC 그룹이 출자하는 복수의 합동회사에 양도한다. 세이부 프린스 호텔 월드와이드(SPW)가 호텔과 레저 자산의 경영 업무를 맡고 세이부 SCCAT(西武SCCAT)가 해당 자산의 빌딩 매니저먼트 업무를 각각 수탁한다. 이번 협정의 대상이 된 자산은 총 76개 중에서 31개이다. 체결 시점의 양도 가격은 1500억엔 정도로 예상되며 양도 차익은 800억엔 정도로 전망된다. ▲세이부 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 로고
-
2020-05-04일본 나고야대(名古屋大學)에 따르면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유도하는 신경 회로를 발견한 것으로 조사됐다.정서적 스트레스는 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켜 혈압과 체온 상승, 빠른 심장 박동과 같은 신체적 반응을 유발한다. 과도한 스트레스는 심하게 열이 나는 상태인 심인성 열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스트레스 유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스트레스에 대한 물리적 반응의 근본 신경 메커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쥐의 뇌에 추적자를 주입하고 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수행했다.추적자들은 특히 the dorsal peduncular cortex and the dorsal tenia tecta (DP/DTT) 뇌 영역이 스트레스에 노출될 때 매우 활동적임을 보여줬다.상세히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시상 하부와의 연결을 손상시키고 쥐에게 다시 같은 스트레스에 노출시켰다. 쥐들은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반응, 혈압 상승, 체온 상승, 더 빠른 심박수를 나타내지 않았다.해당 연구는 DP/DTT 영역이 함께 시상 하부로 스트레스 신호를 전송하는 책임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DP/DTT-to-hopothalamus 회로를 차단하면 쥐의 스트레스 증상이 감소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이에 따라 DP/DTT는 스트레스 관련 장애를 치료할 수있는 잠재적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뇌과학은 의학 분야에서 아직 가장 연구개발이 미진한 부문으로 평가된다.▲ Japan-NagoyaUniversity-Neuroscience▲ 나고야대(名古屋大學)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인간은 신이 살고 있는 하늘에 더 가깝게 가기 위해서 바벨탑을 쌓았다. 분노한 신은 인간이 더 이상 협력해 바벨탑 쌓기와 같은 과도한 욕망을 부리지 못하도록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고 한다. 이후 인류는 바벨탑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현대에 들어서 파리의 ‘에펠탑’,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등과 같은 마천루를 건설하는데 성공했다.세계 곳곳에 100층이 넘는 현대식 바벨탑이 넘쳐나고 있는데 거대한 건물을 원활하게 작동시키는 핵심은 초고속 엘리베이터이다.수백 미터에 달하는 상층부까지 몇 초 만에 도달해 높이에 대한 부담감을 느낄 시간조차 허용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엘리베이터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급격한 확장에 따라 통계에 잡히자 않는 안전사고도 급증고층 건물에서 인간과 화물을 기계의 힘을 활용해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승강기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을 모두 포함한다. 2019년 6월 기준 국내에 운행 중인 승강기는 70만1956대에 달하며 연간 3만대에 달하는 승강기가 신규로 설치되고 있다.신규 설치 숫자 면에서 보면 중국, 인도에 이어 3위이다. 승강기 보급대수는 2010년 42만대에서 2018년 68만대로 늘어났다.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 따르면 승강기 관련 사고는 2010년 129건, 2011년 97건으로 소폭 감소했다가 2012년 133건으로 다시 증가했다. 이후 2013년 88건, 2014년 71건, 2015년 61건, 2016년 44건, 2017년 27건, 2018년 21건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하지만 2019년 상반기 동안 21건이 발생해 이미 전년도 총계를 넘어섰다. 사고 내역을 살펴보면 승객용과 장애인용 엘리베이터가 각각 4건, 소방구조용이 2건, 승객화물용이 1건으로 조사됐
-
2017-05-10일본 특허청(特許庁)에 따르면 2017년 5월 특허행정업무에 인공지능(AI)이 도입될 예정이다. 2017년부터 실증 및 비용효과의 확인 작업을 진행하고 2022년까지 행동계획을 책정한다.최근 심사제도의 복잡화, 선행조사범위의 확대 등으로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다. AI를 활용해 ▲직원 업무 서포트 ▲행정서비스 향상 ▲근무방식개혁 등을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AI도입 실행계획 수립에 있어서 각 부서마다 공평하게 특허행정 전체 업무를 조사해 892개 업무로 구분했다. 이중 판단이 불필요한 업무와 일반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는 업무를 제외했다.▲특허청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