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식물"으로 검색하여,
4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X하우시스 바이오 가구용 필름 보드 출시[출처=LX하우시스]LX하우시스(대표이사 한명호)에 따르면 식물성 원료를 적용해 만든 ‘바이오(Bio) SMR 가구용 필름’을 선보였다.‘바이오 SMR 가구용 필름’은 LX하우시스만의 차별화된 SMR(Supermatt Resist: 무광택 표면) 코팅 기술로 만든 PET 필름에 바이오 탄소 코팅을 추가로 적용한 제품이다. 국내 가구용 필름 업계에서 식물성 원료를 적용한 제품을 출시한 것은 LX하우시스가 처음이다.바이오 탄소는 식물 등 생물학적 원료에서 추출한 탄소를 기반으로 한 소재로 화석연료에서 유래한 탄소와 달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친환경적인 원재료로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며 국내외 가구 업계에서 각광받고 있다.특히 ‘바이오 SMR 가구용 필름’은 미국의 바이오 원료 함유량 공인 시험기관인 베타 연구소(BETA analytic)에서 바이오 탄소가 포함된 필름 코팅에 대한 검증을 완료했다.또한 식품에 닿는 재료로 사용 가능한 안전성을 시험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식품 접촉 안전성 평가도 통과했으며 제품의 친환경성을 글로벌 전문기관들로부터 인정받았다.‘바이오 SMR 가구용 필름’은 LX하우시스만의 SMR 기술로 최근 가구 시장에서 소비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무광택 표면 질감을 구현함은 물론 스톤·우드 등 자연 소재 느낌의 디자인을 담은 총 66종으로 출시됐다.무광택 제품 특유의 단점인 스크래치와 오염에 약한 문제를 개선하고 손 자국(지문 등)이 묻어나지 않는 점도 특징이다.실제 이탈리아 공인시험기관 카타스(CATAS)의 테스트 결과, 내스크래치성과 내오염성 등 2개 항목에서 까다로운 유럽규격(EN)을 충족하는 성적서를 획득하며 강한 내구성을 입증했다.한편 LX하우시스는 필름 제품은 물론 무광택 표면 질감과 바이오 탄소 코팅이 똑같이 적용된 보드(MDF판에 필름 부착) 형태의 제품 ‘LX Z:IN 가구용 보드(보르떼7)’도 동시에 출시했다.참고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석유화학 합성수지로 필름과 합성섬유 등의 원료로 사용되며 MDF(중밀도섬유판)는 목재 섬유를 고온·고압 압착 성형해 만든 판재로 가구 등의 재료로 사용된다.
-
2025-03-21▲ 쿠팡, 미닉스 신형 음식물처리기 ‘더 플렌더 PRO’[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3월21일 오후 7시부터 24일까지 앳홈의 가전 브랜드 ‘미닉스’가 내놓은 신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더 플렌더 PRO(프로)’ 사전판매를 진행한다. 사전구매 시 제품은 3월25일부터 로켓배송을 통해 배송받을 수 있다.더 플렌더 PRO(모델명 MNFD-120G)는 인테리어를 중시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모던한 디자인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전작 ‘더 플렌더’를 대폭 업그레이드한 제품이다.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최대 130도 고온 처리로 건조 시간을 80분 단축(최대 4시간 40분 이내 처리) △유해균을 99.999퍼센트(%) 제거하는 ‘하이퍼 건조·살균’ △완벽한 소음 차단을 구현한 ‘제로노이즈’ 기능 등이 새로 추가됐다.이외에 자동 처리, 자동 절전, 자동 보관이 가능한 ‘풀 오토케어’ 기능을 탑재해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더 플렌더 PRO는 정부의 환경표지 인증제도에 따른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음식물처리기 구매비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된다는 것도 장점이다.청년 창업 기업인 앳홈은 1인 가구를 타깃으로 한 소형가전을 중심으로 2024년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하면서 주목받는 강소기업이다. 쿠팡에서도 음식물처리기를 포함해 미니 건조기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제품 정식 출시일인 3월25일 오전 11시부터 1시간 진행 예정인 ‘쿠팡라이브’ 방송을 통해 구매하는 고객들에게는 1만2600원 상당 푸드컨테이너를 추가로 증정하는 이벤트를 마련했다.쿠팡이 이처럼 풍성한 사전판매 혜택을 준비한 것은 최근 음식물처리기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하는 등 고객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2025년 2월 쿠팡 내 ‘음식물처리기’ 키워드 검색량은 전년 8월 대비 215% 증가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음식물처리기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2000억 원에서 2024년 6000억 원, 2205년 1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쿠팡 관계자는 “최근 음식물처리기가 ‘주방 필수템’으로 주목받으며 열풍이 불고 있는 만큼 고객분들께 우수한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선보이기 위해 이번 사전판매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
▲ 삼양사가 공급하는 카페랩 음료 2종[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식자재유통 브랜드 서브큐는 국내 독점 공급하는 카페용 식물성 음료 ‘카페랩’(CAFELAB)이 ‘2025 코리아 라떼 아트 챔피언십’ 공식 식물성 음료로 선정됐다.코리아 라떼 아트 챔피언십(KLAC, Korea Latte Art Championship)은 20일부터 23일까지 나흘 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되는 ‘카페 디저트 페어’의 메인 부대행사다. 커피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월드 커피 챔피언십(WCC)에 참가할 한국 대표를 선발하는 대회다.최근 커피업계는 기후 변화로 인한 커피원두 생산량 감소, 원재료 가격 상승 등 환경 문제에 영향을 받으면서 동물성 유제품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논밀크(Non-Milk) 제품에 관심을 두고 있다.이에 KLAC도 2023년부터 식물성 음료만으로 라떼 아트 대회를 진행하는 가운데 2025년 공식 식물성 음료로 카페랩을 선정한 것이다.서브큐가 2024년 11월 국내에 처음 선보인 ‘카페랩’ 2종(카페랩 아몬드·오트)은 100퍼센트(%) 오스트레일리아산 아몬드와 오트를 사용하는 식물성 음료다.특히 스팀 분사 시 크림처럼 부드러운 질감의 폼(거품)을 만들 수 있고 식물성 음료와 커피의 뭉침 현상이 없어 비전문가도 섬세한 라떼 아트가 가능하다.서브큐는 KLAC 행사기간에 해당하는 3월21~22일 이틀간 카페랩을 사용한 라떼 아트 시연 행사를 운영한다.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 우승자이자 카페랩 앰배서더로 활동 중인 앤소디 더글라스가 직접 라떼 아트를 선보이며 카페랩 제품의 강점을 소개할 예정이다.아울러 이번 성과를 기념해 이달 말까지 서브큐 공식몰(https://www.serveq.co.kr/)에서 사업자 회원 중 50명을 추첨해 카페랩 2종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운영한다.삼양사 정지석 식자재유통BU장은 “이번 성과는 호주 카페시장을 선도하는 바리스타용 식물성 음료인 카페랩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며 “이를 계기로 국내 카페·베이커리 업계에서 카페랩의 존재감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2025-03-14▲ 화장품 용기 포장재에 적용가능한 LG화학 친환경 소재들(연출컷)[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3월20일부터 3일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열리는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볼로냐 2025(Cosmoprof Worldwide Bologna 2025)’에 참가해 지속가능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제품들을 전시한다.LG화학이 고객 맞춤형 친환경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뷰티 시장 공략을 통해 글로벌 고객 확보에 나선다.코스모프로프 전시회는 뷰티 산업의 소재, 패키지, ODM(제조자개발생산), 브랜드 등 3000여 개의 코스메틱 회사가 참가하는 글로벌 최대 뷰티 산업 박람회다.LG화학은 친환경 파트너사인 코스맥스 부스의 에코존에서 친환경 원료를 활용한 용기부터 포장재까지 뷰티 산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선도할 친환경 소재 포트폴리오를 폭넓게 선보인다.전시 부스에서는 폐식용유 등 재생가능한 식물성 원료를 활용해 고객이 원하는 함량에 맞춰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드롭인(Drop-In) 솔루션인 BCB(Bio-Circular Balanced) 소재와 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재활용한 CB(Circular Balanced) 소재가 적용된 뷰티 용기들을 전시한다.이 제품들은 기존 제품의 물성과 기능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자원 순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원료로 생산돼 뷰티 산업이 직면한 탄소 저감 및 폐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기여할 제품군으로 주목받고 있다.LG화학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단일 PE(폴리에틸렌) 소재인 ‘유니커블(UNIQABLE)’로 만든 마스크팩 파우치 샘플도 전시된다.유니커블은 기존의 복합 재질 포장 필름과 동일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단일 소재로 만들어져 100퍼센트(%) 재활용이 가능하고 차단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이다.LG화학은 친환경 원료부터 제품까지 고객 맞춤형으로 즉시 대응이 가능한 생산 체제를 기반으로 향후 뷰티 고객과 시장의 지속가능성 니즈를 적극 공략해 나간다는 전략이다.LG화학은 2025년 상반기 내 아시아 최초의 초임계 열분해유 공장 가동을 통해 화학적 재활용 소재 생산에 필요한 기초 원료를 내재화할 전망이다.또한 CS센터 내 컬러디자인센터의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소재로 뷰티 브랜드가 추구하는 다양한 컬러와 질감 등의 디자인 요소들을 구현하며 친환경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CS(Customer Solution)센터는 LG화학 고객사와 협력사를 대상으로 제품 개발, 품질 개선, 생산성 향상 등 종합적인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객지원 전문조직이다.이와 함께 디지털 고객관계관리(CRM) 시스템을 강화해 다양한 뷰티 고객의 지속가능성 니즈와 관심 분야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LG화학의 친환경 패키징 소재가 뷰티 브랜드의 정체성과 연결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LG화학은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지속가능한 뷰티 소재와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다"고 밝혔다.
-
▲ 어바웃미 돌콩 코어 라인 제품[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4년 12월2일 비건 클린 뷰티 브랜드 어바웃미(AboutMe) 신제품으로 밀도 케어에 특화한 ‘돌콩 코어 라인’을 출시했다. 신제품 종류는 세럼, 크림, 아이크림 총 3가지다.나이가 들수록 피부를 지탱하는 콜라겐과 이를 연결하는 엘라스틴이 줄면서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긴다. 이로 인해 실효적인 항노화를 위해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피부 속부터 탄탄하게 관리하는 ‘밀도 케어’가 매우 중요하다.돌콩 코어 라인은 피부 속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돌콩과 대두에서 각각 추출한 돌콩단백질과 하이드롤라이즈드콩단백질 등 식물성 단백질 2종을 사용했다.특히 하이드롤라이즈드콩단백질은 분자량이 낮아 피부 흡수에 용이한 저분자 단백질로, 보습과 탄력 개선에 도움을 준다. 효과적인 밀도 케어를 위해 13종의 펩타이드 성분도 더했다. 신제품의 효능은 인체적용시험에서 확인됐다. 돌콩 코어 세럼과 크림은 피부에 단백질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하는 만큼 사용 2주 후 피부 결밀도가 각각 108.93퍼센트(%), 105.96% 정도로 개선됐다. 속탄력도 각각 105.8%, 105.3%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주름 개선에 특화된 돌콩 코어 아이크림은 사용 4주 전후를 비교했을 때 이마 주름과 눈가 주름이 각각 110.20%, 108.97% 개선됐다. 삼양사는 제품의 흡수력을 높이기 위해 ‘플렉스좀’ 기술을 적용했다. 플렉스좀(Flexsome)은 유효 성분을 피부 속까지 전달하는 기술이다.유연성과 탄력성이 강화된 전달체로, 이를 활용하면 제품 성분이 수월하게 각질층을 통과해 피부 깊숙한 곳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편안하고 가벼운 사용감도 돋보인다. 세럼은 피부에 매끈하게 발리며 끈적임 없이 영양감을 채워주고, 쫀득한 질감의 크림은 피부에 부드럽게 녹아 흡수된다.아이크림은 안자극테스트를 완료한 저자극 제품으로, 얇고 여린 눈가 주위에 바르기에 적합하고 밀착력도 우수하다. 이번 신제품은 어바웃미 공식몰(https://www.aboutmeshop.com/)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https://brand.naver.com/aboutme), 오프라인 매장인 어바웃미 홍대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개당 제품 가격은 세럼 3만2000원, 크림 3만5000원, 아이크림 2만4000원이다. 삼양사는 이번 신제품 출시를 기념해 이달 말까지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돌콩 코어 라인 전 품목을 30% 할인가에 판매하며 한 품목이라도 구매 시 어바웃미의 메이플 세라 핸드버터를 증정한다. 어바웃미는 자연 유래 성분을 주 원료로 하는 비건 클린 뷰티 브랜드로,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에만 부여되는 ‘한국비건인증원’의 비건 인증을 획득했다.제품 패키지도 국제산림관리협의회(FCS) 인증을 받은 종이 포장재와 콩기름 잉크를 쓰고, 분리배출에 용이한 리무머블(Removable) 라벨을 사용하는 등 제품 생산부터 소비자들이 사용하고 폐기하는 전 과정에 걸쳐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고 있다.삼양사 박성수 H&B사업PU장은 “동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 탄력과 직결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감소하지 않도록 피부에 단백질 성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단백질 함량이 높은 콩단백질을 활용한 기초화장품을 출시했다. 약해진 피부 탄력으로 고민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4-11-11▲ 2024 카페쇼 삼양사 서브큐 부스 전경[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딸,먄 식자재유통사업 브랜드 서브큐(ServeQ)가 2024년 11월6일부터 9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서울카페쇼’에 참가했다.서울 카페쇼는 아시아 최초의 커피 박람회로 올해 전 세계 36개국 681개 커피 브랜드에서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됐다.삼양사는 서브큐가 공급하는 냉동 베이커리 생지와 유제품, 소스 등을 활용한 카페∙베이커리 솔루션을 제안하기 위해 2017년부터 6년째 참가했다.서브큐가 서울카페쇼에서 국내 독점 공급하는 카페용 식물성 음료 ‘카페랩’을 선보이고 카페∙베이커리 식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를 시연했다.삼양사는 카페랩 부스를 별도로 운영해 오스트레일리아 커피시장을 선도하는 ‘카페랩(CAFELAB)’ 브랜드의 식물성 음료 2종(카페랩 아몬드, 카페랩 오트)을 선보였다.카페랩은 100% 오스트레일리아산 아몬드와 오트를 사용하는 식물성 음료 브랜드로 현지에서는 ‘밀크랩(MILKLAB)’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다.삼양사는 국내 카페∙베이커리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이달부터 카페랩 제품을 국내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 삼양사가 공급하는 카페랩 음료 2종[출처=삼양사]카페랩 음료는 질감이 부드럽고 본연의 맛이 강하지 않아 카페 음료와 잘 어울린다. 스팀 분사 시 우유처럼 거품이 일어나 라떼 아트 재료로도 적합하다.특히 카페랩 아몬드는 고소한 풍미가 돋보이는 한편, 카페랩 오트는 설탕을 첨가하지 않은 제품임에도 오트의 은은한 단맛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삼양사는 카페랩 음료의 장점을 살린 시연 행사도 전개했다. 지난 8일에는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 우승자 앤소니 더글라스가 카페랩 음료를 활용한 커피 제조를 시연하고 시음 기회를 제공해 많은 방문객의 호응을 얻었다.서브큐 부스는 식재료(Grocery)와 레스토랑(Restaurant)의 합성어인 ‘그로서란트(Grocerant)’ 콘셉트로 꾸며 식자재는 물론 매장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안했다. 그로서란트는 매장에서 구매 가능한 식재료를 활용해 음식을 만들거나 맛볼 수 있는 특별한 문화 공간을 말한다.서브큐는 삼양사가 자체 개발한 냉동 베이커리 제품을 비롯해 △스위스 냉동 베이커리 브랜드 히스탕(Hiestand) △프랑스 베이커리 브랜드 쿠프드팟(Coup de pates) △정통 덴마크 베이커리 브랜드 메테 뭉크(Mette Munk) △미국식 청키 쿠키 브랜드 오마이스위트니스(OH MY Sweetness) △이탈리아 토마토 소스 브랜드 무띠(Mutti) △뉴질랜드 버터 브랜드 앵커(Anchor) 등 해외 프리미엄 베이커리 상품과 식재료를 소개했다.서브큐 부스에서도 다양한 레시피 시연 이벤트를 진행해 방문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특히 올리브쇼, 백년식당 등 요리 프로그램에 출연한 김호윤 셰프가 참석해 무띠 소스를 활용한 파스타와 리조또를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유럽 냉동 베이커리 기업 아리스타 그룹(Aryzta Group) 소속의 프랑스 명장 셰프 파브리스 프로사숑이 참석해 크로와상 생지를 활용한 뉴욕롤(바삭한 페스츄리 속에 다양한 크림을 넣어 만든 디저트)과 타르트를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서브큐 소속 제과기능장들도 크로와상 등을 활용한 특별한 레시피를 선보였다.삼양사 최낙현 대표는 “카페랩은 단품으로 마셔도 좋고 카페 음료에도 잘 어울리기 때문에 국내 카페∙베이커리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매년 카페쇼에 참가해 서브큐가 공급하는 양질의 식재료를 선보이고, 매장 운영에 필요한 서비스와 색다른 레시피를 제안할 것이다”고 밝혔다.
-
2024-10-30▲ 미국 멕시칸 푸드 체인점인 치폴레(Chipotle) 점포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10월30일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은 멕시칸 푸드 체인점의 실적이 호조를 보였으며 로봇택시의 유로 서비스가 정착되는 것으로 드러났다.캐나다에서는 식품공장에서 리스테리아(Listeria)균의 오염으로 리콜 조치가 반복되고 있다. 전력산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 이후 앨버타주에서 과다하게 부과한 전기요금이 많았다.브라질 정부는 프랑스 식품업체가 국내산 콩의 수입을 중단한다고 밝히자 우려를 표명했다. 하지만 국내 법인은 콩의 매입을 지속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치폴레(Chipotle),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US$ 27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미국 멕시칸 푸드 체인점인 치폴레(Chipotle)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US$ 27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음식, 서비스, 훈제 브리스킷이 고객의 숫자, 방문횟수, 이윤 등을 이끈 것으로 조사됐다. 치킨 부리토의 평균 가격은 10달러 이하로 다른 경쟁업체에 비해 15~30% 저렴하다.2024년 3분기 말 기준 치폴레는 3615개의 점포를 운영 중이며 3분기 동안 86개를 추가했다. 전체 점포 중 73개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며 2024년 동안 285~315개의 매장을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미국 로봇택시업체인 웨이모(Waymo)는 2024년 2024년 10월29일 웨이모 원 서비스가 1주일 동안 15만 회를 넘었다고 밝혔다. 유료 서비스만 집계했다.매주 100만 마일 이상을 자동으로 운행되는 셈이다. 2024년 8월 매주 유료 서비스가 횟수가 10만 회를 넘었다고 발표한지 2개월 만에 50%가 증가한 것이다.웨이모는 끊임 없이 비용을 최적화하며 강한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가장 강한 경쟁자인 테슬라도 로보택시를 개발하고 있으며 중국계도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캐나다식품검역청(CFIA), 식물성 우유시설이 리스테리아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규정을 지키지 않아캐나다식품검역청(CFIA)은 식물성 우유시설이 리스테리아(Listeria)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규정을 지키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다수 식물성 음료가 리스테리아 오염을 이유로 리콜 조치됐다.식물성 우유를 생산하는 제조 시설이 치명적인 리스테리아가 발생했다. 3명의 국민이 리스테리아 오염으로 사망했다. 실크(Silk)에서 제조한 코코넛 밀크도 감염된 것으로 드러났다.보건부가 공장 시설을 검사하면서 환경 청소와 완성 제품의 테스트를 완벽하게 진행하지 않았다. 현재 일부 제조시설은 가동을 중단하고 청소와 개선을 진행 중이다.캐나다 노동연맹(Federation of Labour)은 2001년 이후 앨버타주 주민이 전기 요금으로 C$ 24억 달러를 과다하게 납부했다고 밝혔다.지난 23년 동안 앨버타주민이 다른 지역과 동일한 수준의 전기 요금을 부담했다는 가정을 통해 산출한 금액이다. 현재 과도하게 높은 전기요금을 낮춰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전력산업에 대한 규제완화가 주민에게 과도하게 높은 전기요금으로 다가가고 있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2001년 전력산업의 규제를 완화했다. ◇ 브라질 다농 브라질(Danone Brazil), 본사의 입장에도 국내산 콩의 매입을 유지브라질 식품업체인 다농 브라질(Danone Brazil)은 국내산 콩의 매입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프랑스 본사에서 지속성 문제를 언급하며 수입을 중단한다고 언급한 이후 나온 반응이다.현재 다농과 유사한 식품기업은 주로 아시아에서 콩을 주로 수입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산림을 벌채한 토지에서 수확한 농산물의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기업이 이러한 조치를 위반하면 매출액의 최대 20%에 해당하는 벌금을 부과한다. 다농은 2023년 기준 콩 관련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26만2000톤(t), 두유와 콩 요거트를 제조하기 위해 5만3000t을 수입하고 있다.
-
▲ 홍콩 국기[출처=CIA]6월 3주차 홍콩에서는 식물환경위생서가 수소 충전소 연내 서비스를 개시하겠다는 홍콩 수소에너지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국제경영개발원은 2024년 홍콩의 세계 경쟁력이 5위로 2단계 상승했다고 전했으며 KPMG는 상반기 홍콩 IPO 시장에서 상장된 기업이 27개, 조달 금액은 약 HK$ 116억 달러이다.○ 씨티은행중국(花旗银行中国)), HSBC, 항셍은행(恒生銀行), 3개월 예금금리 각각 4.5%, 4.3%, 4% 경쟁… 중소 규모 은행들은 개인, 법인고객 대상 개좌개설 시 HK$ 20만 달러 보증금 및 38일 예치 이후 이자 4.38% 선 인출 및 만기 원금 인출 상품 출시○ 식물환경위생서(食物環境衞生署, 食環署), 홍콩 수소에너지 개발 전략 발표로 수소 충전소 연내 서비스 개시 예정… 수소연료전지 거리 세척 차량 3대 테스트 등 14개 시범 프로젝트 합의, 2025년 상반기 수소 저장·이용 규정 개정안 제출 예정, 2027년까지 국제표준 인증 충족 목표○ 국제경영개발원(IMD), 2024 세계 경쟁력 연례 보고서에서 홍콩이 세계 5위로 2단계 상승… 비즈니스 효율성 및 인츠라 부문 순위 향상 영향이며 가격 경쟁력은 평가 대상 67개국 중 65위로 하위권, 참고로 1위 싱가포르, 2위 스위스, 3위 덴마크, 4위 아일랜드, 미국 12위, 중국 14위 등○ KPMG, 상반기 홍콩 IPO시장에 상장된 기업 27개뿐이며 조달 자금 약 HK$ 116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 35% 감소… 올해 초 IPO 자금조달 전망 1000억 달러에서 600억 달러로 40% 낮췄으나 실적 저조, 중국의 홍콩 민주주의와 법제도 탄압 영향으로 국제금융센터 위상 무너져, 2023년 2월 및 8월 IPO 제로(0)▲ 박재희 기자[출처=iNIS]
-
▲ 패스트푸드 체인점인 맥도날드(McDonalds) 인도에 공급되는 치즈. [출처=홈페이지]인도 마하라슈트라주 식품의약국(Maharashtra FDA)에 따르면 맥도날드(McDonalds)의 상품명에 치즈를 잘못 표기해 소비자를 기만했다고 지적했다.맥도날드가 판매하고 있는 버거와 너겟 제품에는 실제 치즈가 아닌 값싼 식물성 기름인 치즈 대체재를 사옹함에도 상품명에 '치즈'를 표기했기 때문이다.마하라슈트라주 식품의약국은 2023년 10월 맥도날드 측에 인도 전국 매장에서 판매 중인 관련 상품 설명에 포함된 '치즈'를 제외할 것을 요구했다.맥도날드 메뉴 중 △치즈 너겟 △맥치즈 베지버거 △맥치즈 논베지버거 △콘앤치즈 버거 △블루베리 치즈케이크 등 최소 8개 상품이 치즈 대체제를 쓴 것으로 조사됐다.한편 맥도날드는 상품명에서 치즈를 삭제했으며 디른 제품은 고품질의 치즈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또한 현지 치즈 공급업체인 드렉타(Dlecta Foods Pvt Ltd)는 치즈 유사제품를 공급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
2023-02-07▲ 영국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인 테스코(Tesco) 건물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영국 대형 유통업체인 테스코(Tesco)에 따르면 다수의 사람이 올바른 티백 폐기 방식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소비자의 혼란을 가중시키며 환경 오염에 영향을 끼친다고 전했다.테스코의 주도로 진행된 유고브 설문조사에 의하면 설문자의 43%가 사용한 티백을 일반 쓰레기로 분류했다. 유고브는 영국의 인터넷 기반 시장조사기업으로 해당 설문조사에는 테스코 성인 이용객 2000명이 참여했다.이외에 △음식물쓰레기 24% △재활용쓰레기 6% △가정용 퇴비 12%로 분류해 폐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성인의 30%만 티백이 플라스틱을 포함한다는 것으로 사실을 알고 있었다.티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으로 폴리에틸렌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제품용 플라스틱이다. 최근 폴리프로필렌 제품이 따뜻한 액체에 노출되면 미세플라스틱을 방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테스코는 올해 4월부터 매장에서 판매되는 티백 제품을 모두 퇴비로 만들 수 있는 식물성 티백 제품으로 교체할 계획이다.테스코의 대표적인 자사 티백 브랜드를 포함해 연간 판매량은 티백 10억개 이상에 달한다. 폐기하는 티백은 지역 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에서 퇴비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또한 소비자의 혼란을 없애고 올바른 재활용 방식을 알리기 위해 식물성 티백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알기 쉽게 표기할 방침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