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FAA"으로 검색하여,
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26▲ 제막식 후 기념촬영을 하는 한국항공대, USAA 관계자(왼쪽부터 USAA의 스콧 사이크스 개발총괄책임자, 스토미 사이크스 교육책임자, 저스틴 사이크스 CFO, 한국항공대의 허희영 총장, 김종복) [출처=한국항공대]한국항공대에 따르면 2025년 6월24일(화) 교내에서 미국 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이하 FAA) 항공정비사 자격증 전문 교육기관 현판 제막식을 개최했다.행사에는 한국항공대 허희영 총장, 최병권 사무처장, 김인규 비행교육원장, 김성길 항공기술교육원 원장, 김종복 항공기술교육원 부원장과 함께 미국 항공 전문 교육기관인 US Aviation Academy(USAA)의 저스틴 사이크스(Justin Sykes) CFO, 스콧 사이크스(Scott Sykes) 개발총괄책임자, 스토미 사이크스(Stormy Sykes) 교육책임자 등이 참석했다.한국항공대학교 항공기술교육원이 FAA 항공정비사 자격증과 국내 항공정비사 면장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새롭게 시작했다.이번 과정은 미국 외 국가에서 전 세계 최초로 운영되는 FAA 미국 항공정비사 양성 과정이 될 전망이다. 한국항공대는 이를 위해 2025년 교내 격납고에 FAA 훈련 장비 설치 및 신규 실습용 리어젯 기종 도입을 완료했으며 향후 미래 가상현실·증강현실(VR·AR) 기반 교육을 운영할 계획이다.FAA 인증 교육기관인 USAA는 미국 내 최대 규모의 항공 교육기관이다. 12개 캠퍼스와 200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1700명의 조종사와 정비사를 배출하고 있다.델타항공 등 주요 항공사와 세계 최대 항공기 엔진 정비업체인 스탠다드에어로(StandardAero) 등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아시아 시장 진출의 첫 파트너로 한국항공대를 선정해 2022년 상호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양 기관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FAA 미국 항공정비사 과정은 한국항공대 항공기술교육원에서 6개월,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의 USAA
-
2024년 11월4일 현재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Boeing)은 급여 인상을 요구하는 노조의 파업이 7주째 이어지며 경영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노사가 임금 38%를 인상하는 방안을 합의했지만 무산됐다.2024년 1월 알래스카 항공 소속 보잉 737 맥스(MAX)9 기종의 '도어 플러그(비상구 덮개)'가 이륙 직후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방항공청(FAA)은 기체 결함에 대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기체 결함에 대한 내부고발이 다수 제기됐지만 부인하다가 대형 사고가 터졌다. 내부고발자와 진실 공방을 이어갔지만 추가 고발이 연이어 터지며 사면초가(四面楚歌)에 직면했다. 보잉의 내부고발을 분석해 보자.▲ 글로벌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의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iNIS]◇ 생산 일정 맞추려 불량부품 사용하며 내부고발 초래... 내부고발자는 지루한 법정공발 벌이다 사망보잉은 21세기 들어 항공산업이 호황을 누리며 고속성장을 거듭했다. 2008년 파업을 경험한 후 16년 동안 무파업 신화를 이어갔다. 미국 제조업체에서 파업이 연례행사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내부고발자인 존 바넷(John Mitchell Barnett)은 2019년 항공기 제작 과정에서 생산 일정을 맞추기 위해 기준에 맞지 않는 부품을 사용한다고 언론에 폭로했다. 미국 언론이 아니라 영국 BBC 방송을 선택했다.바넷은 2010년부터 사우스캐롤리나주 노스 찰스턴 공장에서 보잉 787 드림라이너의 품질을 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했다. 2017년 건강상의 이유로 퇴사하기까지 32년 동안 현장을 지킨 베테랑이다.바넷은 주문이 밀려 생산일정을 맞추기 위해 기준에 맞지 않아 쓰레기 통에 버린 부품을 다시 꺼내와 제작 중인 비행기에 장착한 사례도 있다고 밝혔다.바넷의 주장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작업자는 공정 전반에 걸쳐 부품의 소재를 추적해야 하지만 결함이 있는 부품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비행기 기내에 설치된 산소 시스템에도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비상시에 산소마스크 4개 중 1개꼴로 작동
-
2024-09-20▲ 미국 하와이완 항공(Hawaiian Airlines)의 여객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 3추차 경제동향은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벌금 부과, GM(General Motors)의 전기자동차 충전기 확보 정책, 테슬라(Tesla)의 8월 유럽연합에서 판매량 급감 등을 포함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는 스페이스엑스(SpaceX)에 US$ 63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2023년 2회에 걸쳐 안전 관련 발사 규정을 위반했기 때문이다.2023년 6월18일 플로리다 케이프 캐나버럴 우주군 기지(Cape Canaveral Space Force Station)에서 인도네시아 통신 위성을 발사할 때에도 위반했다. 이러한 이유로 17만5000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2023년 7월28일 국가우주항공국(NASA)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팔콘 로벳에 대규모 통신 위성인 쥬티퍼 3를 발사할 때도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 이번 위반으로 28만3009달러의 벌금이 책정됐다.○ 미국 지동차 제조업체인 GM(General Motors)은 자사의 전기자동차(EV)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완료해 테슬라의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상이 되는 EV는 Chevy, Cadillac, GMC 등이다.차량 소유주는 GM이 승인한 테슬라 아답터를 US$ 225달러에 구매해야 한다. 향후 생산되는 EV는 처음부터 테슬라의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GM이 이러한 목표를 제시한지 15개월 만에 완료된 것이다.GM은 2024년 봄부터 테슬라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테슬라의 내부 문제로 지연됐다. 하지만 지금부터 1만7800대의 자동차가 테슬라 충전기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2024년 8월 테슬라(Tesla)의 유럽연합 지역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3.2% 하락했다. 2024년 1월~8월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4.9% 축소됐다.2024년 8월
-
▲ 미국 연방항공청(FAA) 빌딩 [출처=위키피디아]2024년 9월19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를 포함한다. 미국은 GM(General Motors)이 15개월 간의 노력 끝에 테슬라의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를 사용하는 조치를 완료했다.미국 연방항공청(FAA)는 스페이스엑스(SpaceX)가 위성을 발사하며 안전 규정을 위반했다며 대규모의 벌금을 부과했다.캐나다는 2024년 8월 인플레이션이 2%로 중앙은행의 관리 목표치를 회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브리티시 콜롬비아주는 단기 임대에 대한 감독을 강화한 결과 임대료가 내려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아르헨티나는 2024년 2분기에도 경기침체가 진행되며 5분기 연속으로 불황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농업이나 어업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건설, 제조업, 소매업 모두 성장이 하락했다. ◇ 미국 연방항공청(FAA), 스페이스엑스(SpaceX)에 US$ 63만 달러의 벌금 부과미국 지동차 제조업체인 GM(General Motors)은 자사의 전기자동차(EV)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완료해 테슬라의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상이 되는 EV는 Chevy, Cadillac, GMC 등이다.차량 소유주는 GM이 승인한 테슬라 아답터를 US$ 225달러에 구매해야 한다. 향후 생산되는 EV는 처음부터 테슬라의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GM이 이러한 목표를 제시한지 15개월 만에 완료된 것이다.GM은 2024년 봄부터 테슬라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테슬라의 내부 문제로 지연됐다. 하지만 지금부터 1만7800대의 자동차가 테슬라 충전기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미국 연방항공청(FAA)는 스페이스엑스(SpaceX)에 US$ 63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2023년 2회에 걸쳐 안전 관련 발사 규정을 위반했기 때문이다.2023년 6월18일 플로리다 케이프 캐나버럴 우주군 기지(Cape Canaveral Space Force St
-
2021-07-06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국가공역체계(NAS)에서 드론을 비행하기 위해 레크레이션 드론 조종사가 무인항공기안전테스트(TRUST)를 받아야 한다.미국 영공에서 안전하게 운영하는 데 필요한 훈련과 지식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16개 기관이 이 테스트를 제공하도록 승인됐다.테스트에 약 30분이 걸리고 총 23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읽기 및 4개의 퀴즈가 포함된다. 이를 통해 조종사는 규제, 공역 승인 및 조종사 적합성에 관한 정보를 배울 수 있다. 조종사가 테스트를 완료하면 비행시 당국에 제공할 인증서를 받게된다. 이 인증서는 만료되지 않아 재시험을 치를 필요가 없다.다만 향후 테스트 콘텐츠가 업데이트 될 수 있고 업데이트된 콘텐츠가 생성되면 레크리에이션 드론 조종사들이 다시 테스트를 치르도록 권장할 예정이다. 참고로 연방항공청이 무인항공기 안전 테스트를 승인한 16개 기관은 다음과 같다. The Pilot Institute, the Academy of Model Aeronautics(AMA), the Boy Scouts of America, Chippewa Valley Technical College, Community College of Allegheny County–West Hills Center, CrossFlight Sky Solutions LLC, Drone Launch Academy LLC, Drone U, Embry-Riddle Aeronautical University(ERAU), HSU Educational Foundation, Lake Area Technical College, Proctorio Incorporated, Tactical Aviation, UAV Coach, University of Arizona Global Campus, and Volatus Aerospace Corp. 등이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로고(출처 : 홈페이지)
-
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셀룰러 연결 드론의 사용을 실험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통신사인 버라이즌(Verizon)의 스카이워드(Skyward)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가시권 비행, 비가시권 비행(BVLOS), 범용교통관리(universal traffic management) 및 일대다 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다. 현재 대부분의 상업용 드론은 무면허 스펙트럼(unlicensed spectrum)에 의지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더 많은 운용 수요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이에 반해 버라이즌은 간섭으로부터 보호되는 스펙트럼에 대해 일종의 4G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드론 운영에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방항공청과 스카이워드는 국가 영공 시스템 내에서 명령 및 제어 또는 C2 기능을 위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상호 심층적으로 관여할 계획이다. 드론 운영자와 드론간의 C2 링크에 사용되는 스펙트럼에 대한 새로운 표준 및 규정을 알리고 이 공간에서 정보 공유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를 통해 안전 표준을 설정하고 범용교통관리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1년 7월 연방회계배당위원회(FAAC)로의 6월 송금액 N1143억나이라를 공제할 계획이다.2021년 4월 국영석유공사는 5월에는 FAAC에 어떤 송금도 하지 않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6월에 FAAC로의 송금에서 1262억나이라를 공제했다.국영석유공사는 휘발유인 프리미엄 모터 스피릿(PMS)에 대한 가격이 너무 낮아 제값을 못 받는 매출액 부담을 계속 부담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영석유공사는 양사 합작법인 파트너에 대한 금융 부채의 일부인 500억나이라는 이번 공제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밝혔다. ▲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2021-05-27이스라엘 드론배송업체 플라이트렉스(Flytrex)에 따르면 미국 연방항공청(이하 FAA)으로부터 드론 식료품 배송에 대한 승인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플라이트렉스가 승인받은 지역은 노스캐롤라이나주 페이엣빌시다. 드론 배송이 가능하다는 것은 ‘사람 위’ 드론 비행도 허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드론 배송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되면 플라이트렉스 자체 앱을 통해 제휴된 업체의 식료품 배송이 가능해진다. 월마트, 스타벅스, 기타 개인 레스토랑 등이 대상이다.특히 월마트의 경우 2020년 9월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플라이트렉스와 함께 드론 배송 서비스를 기획한 바 있다. 수백만 달러의 투자금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한 프로젝트였다.플라이트렉스가 이번 드론 배송사업을 전개하기 위해 협력사인 커지 에비에이션(Causey Aviation)이 참여한다. 커지 에비에이션은 FAA로부터 Part 135 승인을 받은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유인기 배송 서비스도 병행할 수 있다.다만 플라이트렉스가 승인을 받은 것은 가시권(VLOS) 비행에 한해서다. 하지만 당사 경영진은 가시권 범위 내에서도 가능한 드론 배송서비스가 적지 않다는 입장이다.드론 배송 시장이 매년 53%씩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은 현실이 되고 있다. 드론 배송에 대한 법제도가 마련된 미국와 유럽을 중심으로 더 많은 수요가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플라이트렉스 드론으로 아이슬란드 지역서 배송하는 모습(출처 : 플라이트렉스 유튜브 홈페이지)
-
2021-05-04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2021년 4월 21일 발효된 새로운 드론 운용규칙으로 인해 드론 조종사들은 온라인 정기교육을 필히 이수해야 한다.기존 규칙에서는 야간비행을 위한 기본 지식을 숙지하고 원격조종 숙달을 유지하기 위해 24개월마다 대면 테스트를 시행한 바 있다.하지만 반복적인 대면 시험에 따른 인적, 물적 소요가 상당하고 드론 운용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기 위해 기존 시험을 온라인 교육으로 대체했다.온라인 정기교육은 4월 6일부터 업로드됐으며 모두 무료이다. 단, 인증서(Part 107)를 취득하지 못한 경우 수수료를 내고 기초 지식 테스트에 먼저 응시해야 한다.이처럼 조종사 자격을 유지하기 위한 교육과 시험이 기존보다 완화됐다. 그러나 드론 조종사의 책임의식 부재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연방항공청은 “드론 실명제로 조종사의 신원은 전보다 확실하게 보장되고 있지만 온라인 교육제로 인해 조종사의 내실은 자율에 맡길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미국 연방항공청(FAA) 로고
-
2021-04-26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2021년 3월 21일 소형 드론 운용에 대한 새로운 규정(Part 89)이 발효됐다. Par 8에는 드론 실명제라고 불리는 ‘리모트 아이디(Remote ID)’ 시스템이 적용된다.드론과 신원이 확보된 조종사 및 컨트롤 스테이션을 무선 주파수로 추적하기 위한 목적이다. 해당 규정은 상업용 드론 시장이 계속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그에 따른 안전성과 보안성 확보를 위해 마련됐다.사람 주변에서 운영하는 드론 제한 규정도 완화된다. 기존에는 FAA 승인이 없을 경우 조종사 외에는 운영 지역에 들어갈 수 없었고, 지붕이 있는 실내 건물 및 고정 차량 내부에서만 운영이 가능했다.리모트 아이디가 적용되면 등록된 드론과 조종사 데이터가 FAA와 연계된 USS라는 무인항공기시스템 서비스 공급업체로 전송돼 자동으로 운행 승인 시스템이 갖춰진다.FAA는 2025년까지 농업, 건설, 광업, 보험, 통신 등 상업 분야의 드론 시장 규모가 US$ 636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참고로 2020년 12월까지 FAA에 등록된 드론은 170만대 이상, 인증자격을 취득한 조종사는 20만3000여명으로 집계됐다.▲연방항공청(FAA)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