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정보기관 활동] 10. 미국 첩보원 10만 명 전 세계에서 활동...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수호를 위해 헌신
'빨갱이'이는 '빨치산'에서 유래... 공산주의자와 연관성이 낮지만 진보 정치인 공격하는 용어로 악용돼
영국의 생물학자이자 지질학자인 찰스 다윈(Charles Robert Darwin)은 1859년 '종의 기원'이라는 책에서 이른바 진화론을 발표했다. 이전까지 유럽 기독교인은 인간은 신의 창조물이라는 창조론을 신봉했다.
진화론을 믿든 창조론을 신뢰하든 인간이 이 땅에 살기 시작한 이후 첩보활동은 불가피했다. 원시공산사회에서도 생존을 위해 수렵과 채집이 유리한 지역에 대한 첩보(information)를 수집해야 했기 때문이다.
고대 절대 왕조국가나 중세 봉건사회, 근대국가를 넘어 현대 국가로 이어져도 국가 차원의 정보활동 중요성은 약화되지 않았다. 정보를 수집하는 첩보원(agent)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정리해보자.
◇ '빨갱이'이는 '빨치산'에서 유래... 공산주의자와 연관성이 낮지만 진보 정치인 공격하는 용어로 악용돼
1945년 일본 제국주의 압제에서 해방된 한반도는 미국과 소비에트연방공화국(소련)이 분할 통치하며 이념 대결장으로 전락했다. 신탁통지를 반대하는 세력과 찬성하는 단체가 격돌하며 사회적 혼란은 가중됐다.
소수 엘리트를 제외한 일반인 대부분은 자유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조차 모르고 우익과 좌익에 가담할 수밖에 없었다. 남북분단과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이어진 6·25 전쟁은 남한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혐오감을 더 키웠다.
국내에 정치적 기반이 약했던 이승만정부는 좌우이념 대결이 심각해지자 사회주의자를 공격하기 위해 '빨갱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승만정부를 지지하는 극우를 제외한 중도나 좌파 모두 '빨갱이'로 몰아 정치적으로 보복했다. 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정부도 이념몰이로 권력 기반을 강화했다.
1993년 김영삼정부가 들어서며 공식적으로 군사독재를 종식됐지만 이념 논쟁이 정치권에서 사라진 것은 아니다. 1970~80년대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진보 인사들을 좌파로 불렀기 때문이다.
1998년 김대중정부가 출범하며 실질적으로 진보세력이 처음 정권을 잡았지만 이념 논쟁은 오히려 가열됐다. 노무현정부 이후 보수정부로 불리는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는 보수세력의 부활을 위한 정책을 다수 펼쳤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문재인정부가 들어서자 일부 극우 세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을 '빨갱이'라고 부르며 정치사상을 공격했다.
보수 세력의 지지를 등에 업고 당선된 윤석열 전 대통령은 보수 언론과 유튜버의 편향된 정보에 의존해 비상계엄령을 발동했다가 탄핵당했다. '부정선거 음모론'과 '빨갱이'에 대한 논란은 윤석열정부가 무너진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2025년 11월22일 야당인 국민의힘 최고위원인 양향자가 부산광역시에서 시민으로부터 '빨갱이'라는 야유를 받았다. 문제는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출신 지역이 전라도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해명 내용의 그대로 정리하면 '전라도 사람=빨갱이'라는 등식이 성립된 것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적 기반이 전라도 지역이고 소속 정치인 중에서 전라도 출신도 적지 않아 논란이 커졌다.
우리나라에서 '빨갱이'는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를 경멸해 부르는 말이다. '빨갱이'는 사회주의 종주국인 소비에트연방공화국과 중국에서 공산당을 상징하는 도구로 '빨간 깃발'을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일부에서는 항일 유격대원을 지칭하는 '빨치산'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펼친다. 일제 식민지 지배를 받던 시기 만주나 연해주에서 독립운동을 펼친 애국지사 중에서 공산주의 신봉자가 많았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남한 지리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공산당 유격대원을 빨치산으로 불렀다. 빨치산에서 할동하던 사람들을 빨갱이라고도 지칭했다.
하지만 빨치산이라는 용어는 당원이나 유격대원을 뜻하는 파르티잔(partisan)에서 나왔다. 어원만 보면 빨치산과 공산주의자와는 연관성이 낮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나라에서 빨갱이와 빨치산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편이다. 이제 특정 극우 유튜버나 보수 언론이 아닌 정치인이 빨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표지 by 민진규 [출처=엠아이앤뉴스]
◇ 2006년 4월25일 작성한 칼럼 소개... 미국 첩보원 10만 명 전 세계에서 활동하며 국가안보 강화
미국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활발한 첩보전을 전개하고 있다. 국가 최고 정보기관인 중앙정보국(CIA)이 우방국과 적성국을 가리지 않고 해외에서 정보 수집 활동을 전담하고 있다.
CIA의 직원(officer)은 공식적으로 수천 명에 불과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막대한 숫자의 첩보원(agent)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미국 국가정보국장(DNI)의 언론 인터뷰에 의하면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CIA의 첩보원은 약 10만 명이라고 한다.
특히 미국은 2001년 9・11테러 사건 이후 기술정보(TECHINT)에 치중하던 정보 수집 체계를 인간정보(HUMINT)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재편하고 있다.
1970∼80년대 CIA 첩보원의 부패와 무능 등이 문제가 되어 인간정보 수단을 최소화하는 것이 미국 정보당국의 정책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이슈인 테러, 마약, 국제범죄, 사이버범죄 등을 감시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술정보보다 인간정보가 더 효율적이라는 점을 깨닫게 되면서 이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CIA는 최근 해외 첩보원의 수를 50퍼센트(%) 이상 늘리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다. 첩보원은 공식적으로 정부의 공무원은 아니지만 정보기관에 고용돼 첩보(information)나 정보(intelligence) 수집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대사관의 직원으로 위장한 정보관(legal officer)과 달리 일반 기업의 직원이나 학생, 종교인 등 다양한 위장(cover) 신분을 유지하고 있다. 첩보원은 미국 국민일 수도 있고 타국의 국민일 수도 있다.
쉽게 말하면 국적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첩보를 수집해서 제공할 능력만 있으면 돈으로 고용한다. 과거 군사나 정치정보를 수집하던 첩보원이 이제는 경제나 국제범죄, 테러, 환경, 산업 등에 관련된 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첩보원이 수집해 분석한 정보에 기인한다고 보면 된다.
이들은 미국의 국가이익을 위해 정보를 수집해 CIA 본부에 보고하고 CIA 정보분석관은 이를 면밀하게 분석해서 정부의 정책결정자에게 제공한다.
미국이 글로벌 경영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첩보원이 10만 명이라면 한국은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첩보원을 확보해야 할까?
어떤 국가에 첩보원을 파견할 것인지, 현지인을 고용할 것인지, 몇 명이 필요한지 등에 관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첩보원을 유지하는 것은 명확하게 ‘돈(money)’이다. 즉 다시 말해서 예산(budget)이 뒷받침돼야 가능한 공작(operation)이라는 것이다. 미국 CIA도 천문학적인 규모의 예산으로 이들 첩보원을 관리한다고 보면 된다.
한국의 국가 위상이나 정부 예산액으로는 수천 명의 첩보원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첩보원을 보낼 국가와 수집할 정보의 영역을 한정해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말하면 ‘선택과 집중’을 하라는 것이다. 정보 책임자들의 통찰력이 필요한 대목이다. 국가의 정보전략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여론에 매몰돼 특정 정당이나 정치지도자의 선호에 따라 좌지우지(左之右之)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계속 -
진화론을 믿든 창조론을 신뢰하든 인간이 이 땅에 살기 시작한 이후 첩보활동은 불가피했다. 원시공산사회에서도 생존을 위해 수렵과 채집이 유리한 지역에 대한 첩보(information)를 수집해야 했기 때문이다.
고대 절대 왕조국가나 중세 봉건사회, 근대국가를 넘어 현대 국가로 이어져도 국가 차원의 정보활동 중요성은 약화되지 않았다. 정보를 수집하는 첩보원(agent)에 대한 다양한 이슈를 정리해보자.
◇ '빨갱이'이는 '빨치산'에서 유래... 공산주의자와 연관성이 낮지만 진보 정치인 공격하는 용어로 악용돼
1945년 일본 제국주의 압제에서 해방된 한반도는 미국과 소비에트연방공화국(소련)이 분할 통치하며 이념 대결장으로 전락했다. 신탁통지를 반대하는 세력과 찬성하는 단체가 격돌하며 사회적 혼란은 가중됐다.
소수 엘리트를 제외한 일반인 대부분은 자유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조차 모르고 우익과 좌익에 가담할 수밖에 없었다. 남북분단과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이어진 6·25 전쟁은 남한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혐오감을 더 키웠다.
국내에 정치적 기반이 약했던 이승만정부는 좌우이념 대결이 심각해지자 사회주의자를 공격하기 위해 '빨갱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이승만정부를 지지하는 극우를 제외한 중도나 좌파 모두 '빨갱이'로 몰아 정치적으로 보복했다. 1961년 5·16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정부도 이념몰이로 권력 기반을 강화했다.
1993년 김영삼정부가 들어서며 공식적으로 군사독재를 종식됐지만 이념 논쟁이 정치권에서 사라진 것은 아니다. 1970~80년대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진보 인사들을 좌파로 불렀기 때문이다.
1998년 김대중정부가 출범하며 실질적으로 진보세력이 처음 정권을 잡았지만 이념 논쟁은 오히려 가열됐다. 노무현정부 이후 보수정부로 불리는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는 보수세력의 부활을 위한 정책을 다수 펼쳤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문재인정부가 들어서자 일부 극우 세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을 '빨갱이'라고 부르며 정치사상을 공격했다.
보수 세력의 지지를 등에 업고 당선된 윤석열 전 대통령은 보수 언론과 유튜버의 편향된 정보에 의존해 비상계엄령을 발동했다가 탄핵당했다. '부정선거 음모론'과 '빨갱이'에 대한 논란은 윤석열정부가 무너진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2025년 11월22일 야당인 국민의힘 최고위원인 양향자가 부산광역시에서 시민으로부터 '빨갱이'라는 야유를 받았다. 문제는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출신 지역이 전라도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해명 내용의 그대로 정리하면 '전라도 사람=빨갱이'라는 등식이 성립된 것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적 기반이 전라도 지역이고 소속 정치인 중에서 전라도 출신도 적지 않아 논란이 커졌다.
우리나라에서 '빨갱이'는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를 경멸해 부르는 말이다. '빨갱이'는 사회주의 종주국인 소비에트연방공화국과 중국에서 공산당을 상징하는 도구로 '빨간 깃발'을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일부에서는 항일 유격대원을 지칭하는 '빨치산'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펼친다. 일제 식민지 지배를 받던 시기 만주나 연해주에서 독립운동을 펼친 애국지사 중에서 공산주의 신봉자가 많았다.
또한 한국전쟁 당시 남한 지리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공산당 유격대원을 빨치산으로 불렀다. 빨치산에서 할동하던 사람들을 빨갱이라고도 지칭했다.
하지만 빨치산이라는 용어는 당원이나 유격대원을 뜻하는 파르티잔(partisan)에서 나왔다. 어원만 보면 빨치산과 공산주의자와는 연관성이 낮다.
그럼에도 아직 우리나라에서 빨갱이와 빨치산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편이다. 이제 특정 극우 유튜버나 보수 언론이 아닌 정치인이 빨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표지 by 민진규 [출처=엠아이앤뉴스]
◇ 2006년 4월25일 작성한 칼럼 소개... 미국 첩보원 10만 명 전 세계에서 활동하며 국가안보 강화
미국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활발한 첩보전을 전개하고 있다. 국가 최고 정보기관인 중앙정보국(CIA)이 우방국과 적성국을 가리지 않고 해외에서 정보 수집 활동을 전담하고 있다.
CIA의 직원(officer)은 공식적으로 수천 명에 불과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막대한 숫자의 첩보원(agent)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미국 국가정보국장(DNI)의 언론 인터뷰에 의하면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CIA의 첩보원은 약 10만 명이라고 한다.
특히 미국은 2001년 9・11테러 사건 이후 기술정보(TECHINT)에 치중하던 정보 수집 체계를 인간정보(HUMINT)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재편하고 있다.
1970∼80년대 CIA 첩보원의 부패와 무능 등이 문제가 되어 인간정보 수단을 최소화하는 것이 미국 정보당국의 정책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이슈인 테러, 마약, 국제범죄, 사이버범죄 등을 감시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술정보보다 인간정보가 더 효율적이라는 점을 깨닫게 되면서 이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CIA는 최근 해외 첩보원의 수를 50퍼센트(%) 이상 늘리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다. 첩보원은 공식적으로 정부의 공무원은 아니지만 정보기관에 고용돼 첩보(information)나 정보(intelligence) 수집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대사관의 직원으로 위장한 정보관(legal officer)과 달리 일반 기업의 직원이나 학생, 종교인 등 다양한 위장(cover) 신분을 유지하고 있다. 첩보원은 미국 국민일 수도 있고 타국의 국민일 수도 있다.
쉽게 말하면 국적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첩보를 수집해서 제공할 능력만 있으면 돈으로 고용한다. 과거 군사나 정치정보를 수집하던 첩보원이 이제는 경제나 국제범죄, 테러, 환경, 산업 등에 관련된 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첩보원이 수집해 분석한 정보에 기인한다고 보면 된다.
이들은 미국의 국가이익을 위해 정보를 수집해 CIA 본부에 보고하고 CIA 정보분석관은 이를 면밀하게 분석해서 정부의 정책결정자에게 제공한다.
미국이 글로벌 경영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첩보원이 10만 명이라면 한국은 국가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첩보원을 확보해야 할까?
어떤 국가에 첩보원을 파견할 것인지, 현지인을 고용할 것인지, 몇 명이 필요한지 등에 관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첩보원을 유지하는 것은 명확하게 ‘돈(money)’이다. 즉 다시 말해서 예산(budget)이 뒷받침돼야 가능한 공작(operation)이라는 것이다. 미국 CIA도 천문학적인 규모의 예산으로 이들 첩보원을 관리한다고 보면 된다.
한국의 국가 위상이나 정부 예산액으로는 수천 명의 첩보원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첩보원을 보낼 국가와 수집할 정보의 영역을 한정해서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위 말하면 ‘선택과 집중’을 하라는 것이다. 정보 책임자들의 통찰력이 필요한 대목이다. 국가의 정보전략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여론에 매몰돼 특정 정당이나 정치지도자의 선호에 따라 좌지우지(左之右之)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계속 -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