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10여 개의 국내 대학 등과 ‘방산 소버린 AI’ 산학협력 구축
대공방어를 위한 ‘미래형 전장(戰場) 상황인식 AI 모델’의 연구개발(R&D) 착수
▲ 한화시스템 로고 [출처=한화시스템] |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서울대·카이스트(KAIST)·포항공과대(POSTECH)·네이버클라우드 등 10여 개의 국내 대학, 인공지능(AI) 선도기업, AI 중소기업들과 ‘국방 AI 기술 자립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한화시스템은 국내 대학 및 AI 기업들과 함께 국내 방위산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한국형 소버린(Sovereign·주권) AI’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소버린(주권) AI는 국가나 기업이 자체 인프라와 데이터를 통해 독자적으로 운용하고 통제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한다.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한 방산 분야에서 국내 대학 및 기업들과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해 대한민국의 군(軍)을 위한 AI 기반의 ‘K-방산’ 생태계 구축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한화시스템은 이번에 MOU를 맺은 국내 기관과 함께 대공방어를 위한 ‘미래형 전장(戰場) 상황인식 AI 모델’의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
우리 군이 실시간으로 위협을 분석하고 최적의 무기체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실시간 수집 및 위협 분석·식별 △AI 지휘 결심 지원 등의 인공지능 모델과 의사결정 체계를 국내 기술로 최적화할 예정이다.
국방 AI 분야는 해외 AI 기술에 의존하게 되면 △기밀 데이터 유출 및 무단 수집 등 보안 이슈 △한국 맞춤형 솔루션 구현 및 정보 통제의 한계 △해외 서비스 정책과 규제 종속 △선택적 서비스 제한 등 다양한 외부 변수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대규모 협약 릴레이를 통해 대한민국 자체 국방 AI 모델을 확보하고 자주권과 직결된 국방·산업 안보에 있어 해외 의존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국방 기술 혁신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CONNECT:H(커넥트:H)’를 통해 2021년부터 무인 자율과 AI 기술을 개발해 왔다.
2022년부터는 군인공제회와 밀리테크(군사기술) 분야 벤처펀드를 조성해 AI·양자컴퓨팅·사이버 보안 등 육해공·우주·사이버 등 미래전(戰) 기술 주권 확보가 시급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박성균 한화시스템 DE(Defense Electronics) 사업단장은 “본 MOU는 단순한 기술 협력 수준을 넘어 국내 AI 기술의 독립과 자생적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전략적 출발점이다”며 “앞으로도 한화시스템은 K-방산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위해 미래형 전장 기술이 빠르게 현장에 적용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